[약물비리 속수무책] “청렴해야 할 공무원 不正출발 꼭 바로잡아야”
입력 2013-10-30 18:44 수정 2013-10-30 22:44
전문가들은 공무원 시험 및 체대 입시의 약물 비리를 근절하려면 시급히 도핑테스트를 도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청렴해야 할 공무원이 출발부터 부정한 수단을 사용하는 실태를 반드시 바로잡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비용과 시간적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가 나서는 게 합리적이라고 조언했다.
한국도핑방지위원회(KADA) 한통정 교육홍보팀장은 30일 “공무원 시험에서 약물을 사용하는 사람이 1명이라도 있다면 예방 차원에서라도 도핑 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면서 “약물 종류와 복용량에 따라 애매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어 명확한 도핑 기준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체력시험에 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약물은 250가지가 넘는다고 했다. 한 팀장은 “악력, 제자리멀리뛰기에 어떤 약물이 효과가 좋다고 콕 집어 말하긴 어렵지만 통상 250가지가 넘는 약물이 일시적 체력 증진을 가져올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100m 달리기와 멀리뛰기 시험에선 근육 수축력이 커지고 근력 증강 효과가 큰 스테로이드의 유혹을 수험생들이 많이 받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도핑테스트의 효과에 대해선 “어떤 종목에 어떤 약물이 좋다는 식으로 컴퓨터 게임처럼 딱 나뉘는 게 아니다”며 “일반인 대상 도핑 검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만큼 협의를 거쳐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06년 설립된 KADA는 대한체육회 산하 경기단체 선수들의 도핑 시료 채취와 금지약물 사용 선수 관리 등을 맡고 있는 단체다.
경찰대 경찰학과 백창현 교수는 “도덕성이 생명인 경찰 시험에 부정한 방법을 동원해 응시한다면 문제가 크다”면서 “가능하면 전부 도핑테스트를 실시하는 게 가장 좋다”고 말했다. 백 교수는 “응시자가 많더라도 부정을 저지르는 인원을 걸러내는 최소한의 장치가 필요하다”며 “약물 의심 수험생을 선별해 검사하는 등 경찰청 차원에서 확실한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균관대 스포츠과학대학 강현식 교수도 “입시 과정에서 수험생이 자신의 한계를 느꼈을 때 약물로 해결하고 싶은 욕구가 극대화될 것”이라며 “이런 유혹을 사전에 차단키 위해 대학이 심의위원회를 구성해 대비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강 교수는 “현재로선 대학마다 별 대비책이 없어 보이는데, 수험생이 소변이나 혈액을 가지고 약물 검사를 하도록 한 뒤 결과를 제출케 의무화하는 등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스테로이드 복용을 통해 단기간에 증진시킨 체력이나 경기력은 우리가 원하는 게 아니다”며 “대학 차원에서 정직한 인재를 뽑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박세환 박요진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