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교 대학 학적 관리 엉망… 등록 데이터 오류만 6만건 넘어
입력 2013-10-30 18:23
수도권 전문대를 졸업한 직장인 A씨(33)는 학사학위를 받기 위해 경북외대에서 인터넷 강의 4과목을 들었다. 시간을 아껴가며 12학점을 취득했다. 하지만 대학이 비리와 부실로 폐교되면서 A씨의 학점도 사라졌다. 학적기록 이관 과정에 A씨 자료가 누락됐기 때문이다. A씨는 이관 작업을 담당하는 한국사학진흥재단에 민원을 제기하고 닷새가 지나서야 겨우 증명서를 받아볼 수 있었다.
교육부는 대학구조개혁위원회를 통해 폐교 조치한 대학과 자진 폐교한 대학의 학적관리를 사학진흥재단에 위임하고 있다. 사학진흥재단은 학적기록을 보관하다 학생들이 다른 대학에 편입할 때 활용토록 넘겨준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학생 정보가 누락되는 등 관리가 부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류도 상당히 많아 관련 민원이 500건 이상 발생하는 등 학생들에게 고스란히 피해가 돌아가고 있다. 교육부가 대학 구조조정의 ‘칼’을 빼들면서 폐교 대학 사후관리에 대한 제도적 준비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민주당 김상희 의원이 30일 사학진흥재단에서 제출받은 ‘퇴출학교 DB 이관’ 자료에 따르면 재단은 폐교된 4개 대학(건동대·선교청대·경북외대·한민학교)의 학생 1만9061명, 시간제 등록생 9만1901명, 교직원 1595명 등 10만2457명에 대한 이관 작업을 완료했지만 이관된 데이터베이스에서 7만6229건의 오류가 발생했다. 4명 중 3명꼴로 학적기록이 잘못돼 있는 것이다. 주민등록번호, 학번, 이름, 등록금 납입 정보 등 등록 데이터 오류가 6만6488건(87.2%)으로 가장 많았다. 학적 관계 오류 5276건, 성적 데이터 오류 2629건, 장학 관련 오류 1431건 순이었다.
교육부와 재단 측은 폐교 대학의 학적기록이 원래 부실했고 폐교 조치 이후에도 무책임한 자세로 일관했기 때문이라고 해명했다. 폐교 대학 학생의 학적기록 확보부터가 어려웠다는 얘기다. 교육부 관계자는 “폐교 대학 담당자의 비협조 등으로 검증 작업이 힘들었다”며 “학사관리 또한 이전부터 수작업 수준으로 부실하게 관리되고 있던 터라 원천적인 어려움이 있었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