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경찰공무원 시험 도핑테스트 도입 추진

입력 2013-10-30 17:54 수정 2013-10-30 22:08

이르면 내년부터 경찰공무원을 뽑는 체력시험에 선별적 도핑테스트가 도입된다. 교육부와 소방방재청은 공무원 체력시험의 부정 약물 실태 조사에 착수했다. 일부 대학도 내년 전형부터 체대 입시의 약물 비리 근절을 위한 대응 방안을 마련키로 했다.

경찰청은 내년 2월 실시 예정인 2014년도 경찰공무원 시험에 도핑테스트를 도입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30일 밝혔다. 경찰청 이상원 경무인사기획관은 “체력시험 부정 약물 수험생을 적발하기 위해 내년부터 선별적인 도핑테스트 실시 방안을 추진하겠다”며 “체격에 비해 체력 점수가 과도하게 좋은 수험생 등이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경찰청은 이와 함께 정책연구 용역을 발주해 공무원 시험에 만연한 약물 비리 실태도 조사할 예정이다.

소방방재청도 정책연구 용역을 통한 실태 조사에 착수하는 한편 소방공무원 채용 때 체력시험 점수 비중을 대폭 낮추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중앙소방학교 관계자는 “연구용역 결과에 따라 체력측정 제도 자체를 아예 개선할 수도 있다”며 “소방공무원으로 일할 수 있는 최소한의 체력 기준을 통과하면 체력 점수가 당락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조정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현재 경찰·소방공무원의 체력시험 비중은 25%에 달한다.

교육부와 대학들도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우선 체육교사 중등임용시험 수험생들의 약물 남용 실태를 파악한 뒤 근절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중앙대는 도핑테스트 등 부정 약물 근절책을 내년 체대 입시에 적용키 위해 제도 개선에 착수했다. 중앙대 관계자는 “전면 도핑테스트 도입이 정답이 아닐 수도 있어 체육 실기전형 자체를 점검해보려 한다”며 “체대 입시는 겨울 정시모집밖에 없기 때문에 내년 상반기까지 충분한 논의를 거쳐 제도 전반을 손보든가 약물 금지 규정을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정부 차원에서 약물 금지 기준을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대책을 마련할 경우 비용과 노력이 중복되고 자칫 미봉책으로 끝날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정부가 나서서 공식적인 기준과 대책을 세워야 한다”면서 “적어도 경찰·교육부 등 관련 기관이 모여 협의하면 합리적 개선책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경 전수민 기자 vic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