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출구전략 늦어지나… 경기회복세 주춤

입력 2013-10-29 18:28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예상 시점이 계속 늦춰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당국이 내년 하반기에나 채권 매입 규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여파로 각종 경제지표가 왜곡된 데다 제조업·부동산 시장 위축으로 경기회복 동력마저 떨어진 탓이다.

미국에서 지난달 제조업 생산량이 0.1% 증가하는 데 그쳤다고 CNN머니와 블룸버그통신 등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8월 수정된 생산량 증가율 0.5%의 5분의 1 수준이다. 블룸버그 조사에서 경제전문가들이 예상한 0.3%에도 크게 못 미친다.

씨티그룹 이코노미스트 피터 단토니오는 “전반적 내수 둔화, 해외시장 취약, 재고 수요 감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제조업을 위축시켰다”고 분석했다. 컨설팅업체 IHS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나리만 베라베시는 “4분기 미국 경제가 셧다운으로 ‘소프트 패치’(일시적 침체)에 빠졌다”고 진단했다.

제조업을 포함한 전체 산업 생산량은 지난달 0.6% 늘었다. 지난여름 유난히 더운 날씨로 냉방시설 등 유틸리티(산업설비) 생산이 4.4% 늘어난 탓이 크다고 로이터통신은 분석했다. 유틸리티 생산은 지난 8월까지 5개월 연속 하락했다.

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NAR)는 지난달 잠정 주택매매 지수가 5.56% 하락했다고 발표했다. 세제 혜택 중단으로 28.9% 급락한 2010년 5월 이후 최대 하락폭이다. 이 지수는 4개월 연속 떨어졌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고대로 연내 양적완화 축소에 들어가긴 어려울 것이란 관측은 점점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스탠다드차타드 이코노미스트 토머스 코스테르그는 “연준이 테이퍼링(자산 매입규모 축소)을 고려할 때 더 신중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연준이 양적완화 정책을 적어도 내년 3월까지, 늦으면 6월까지 유지할 것으로 본다고 CNN머니는 전했다. 셧다운 영향과 연준 의장 교체시기 등을 고려해 연초로 미뤄질 것이라던 전망보다 더 늦춰진 것이다.

연준은 매달 850억 달러어치의 채권을 사들여 시중에 돈을 풀고 있다. 리서치업체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폴 애시워스는 연준이 이대로 3차 양적완화를 지속하면 채권 매입규모가 1조6000억 달러(약 1700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