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댓글에 일반인 동원 포착
입력 2013-10-29 01:17
국가정보원 정치·대선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 특별수사팀은 국정원의 ‘트위터 활동’에도 일반인 보조요원(PA·Primary Agent)이 동원된 정황을 포착했다.
수사팀은 지난 18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의 공소장 변경 신청을 하면서 국정원 심리전단 5팀(SNS팀)이 지난해 9~12월 특정 정당을 지지·비방하는 글 5만5689건을 올렸다고 밝혔다. 이에 국정원은 최근 “트위터 글 5만5689건 중 1만5177건은 국정원과 상관없는 사람이 혼자 작성한 것”이라며 검찰 수사 내용을 반박했다. 자체 확인 결과 해당 계정을 운영한 ‘kkj0588’이라는 아이디는 국정원 직원이 아니라 박근혜 대통령 지지 단체인 ‘박사모’의 간부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그러나 수사팀은 아이디 ‘kkj0588’이 국정원이 관리한 PA의 계정이라는 여러 단서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 직원들에 대한 이메일 압수수색에서도 해당 아이디를 포함해 PA로 추정되는 여러 계정 리스트가 발견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지난 공판에서 ‘트위터 부분도 충분히 공소 유지가 가능하다’고 한 것과 연장선상에서 판단하면 된다”고 말했다.
한편 새누리당은 “검찰 수사결과에 오류가 있다”며 적극 반격에 나섰고, 민주당은 “2013년식 긴급조치가 실행되고 있다”며 총공세를 펼쳤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이 추가 증거로 제출한 트위터 자료 가운데 상당수가 오류라는 자체 조사결과를 언급한 뒤 “단순 실수인지 아니면 짜맞추기 수사를 위한 고의적인 오류인지 당시 수사팀이 책임지고 해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검찰이 대선 개입 의혹 증거로 제시한 자료 중 최대 3000건은 오류가 있다는 입장이다.
반면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 무죄 만들기를 위한 2013년식 긴급조치는 결국 역사의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 원내대표의 검찰 수사 오류 주장에 대해서는 “외압 그 이상의 비상식적인 행위”라고 반발했다.
전웅빈 정건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