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민자유치 잇단 실패… 깊어지는 시름
입력 2013-10-28 21:47
KTX 오송역세권 개발 사업에 이어 충북경제자유구역 4곳 중 1곳인 충주 에코폴리스 개발 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다. 민자개발 사업자 유치가 어려워지면서 충북도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잇따른 민자 유치 실패는 내년 지방선거에도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이하 경자청)은 8월 16일부터 지난 24일까지 70일간에 걸쳐 충주 에코폴리스 지구에 대한 민간개발사업 시행자를 공모한 결과 제안서를 제출한 사업자가 없어 민간 사업시행자 공모가 무산됐다고 28일 밝혔다.
충북경제자유구역의 한 축인 에코폴리스 지구는 충주시 가금면 가흥리 일원으로 면적은 420만㎡다. 민자유치 공모가 무산된 것은 부동산·건설 경기가 좋지 않은데다 수도권 규제 완화가 추진되면서 지방에 대한 매력이 떨어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에코폴리스 지구는 군부대와 인접해 건축물 고도제한과 전체 면적의 92%(385만8000㎡)가 건축물 신축이나 증·개축 제한을 받는다는 입지적 약점이 있다. 이 때문에 경자청은 공모 마감 이전부터 민간사업자 확보 실패를 예상했다.
경자청은 에코폴리스 개발 사업자를 확보하기 위한 첫 공모가 무산되면서 개발계획 수정안 마련하고 있다. 전문가위원회 자문과 주민의견 수렴을 거쳐 올 연말까지 개발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우선 에코폴리스 전체를 2∼3개 지구로 나눠 제각각 공모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개발 면적을 줄이면 그만큼 조성비용이나 분양 부담을 덜게 돼 기업 유치가 용이할 수 있다. 충주 에코폴리스발전사랑시민연대는 지자체의 지분 참여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미분양 산업용지 처리방안 등 위험부담에 대한 담보 없이는 참여 기업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며 “지자체 지분참여와 채무지급보증, 책임분양 등의 조건을 제시하면 참여 기업이 나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자청 관계자는 “에코폴리스 개발계획 수정안이 연말에 마련될 경우 내년 초 재공모가 가능하다”며 “기업들의 관심을 끌 수 있는 개발 방안을 마련해 유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