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향우회’ 논란에 더 꼬인 여야… 인사청문서 창·방패 격돌
입력 2013-10-28 18:03
가뜩이나 꼬인 대선 불복 정국에 돌발변수가 튀어 올랐다. 부산·경남(PK) 출신 인사들의 사정(司正) 기관 장악 논란이 바로 그것이다.
민주당은 28일 호재를 만난 듯 ‘PK 향우회 사정 라인’, ‘신(新) PK 시대 도래’, ‘경부선 인사’ 등 조어를 만들어내며 총공세에 나섰다. 새누리당은 “반드시 필요한 인재를 출신 지역 때문에 기용하지 못하는 것은 더 큰 문제”라며 ‘인물론’으로 맞받아쳤다.
이에 따라 다음 달 둘째 주로 예정된 황찬현 감사원장 내정자, 김진태 검찰총장 내정자의 인사청문회는 여야의 격전장이 될 전망이다.
민주당 전병헌 원내대표는 2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사정라인을 PK 출신이 독식하며 ‘신 PK시대’가 도래했다”면서 “누가 봐도 자연스럽지 못한 비정상 극치의 인사”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박 대통령의 가장 큰 공약 중 하나인 대탕평 인사가 거짓말로 드러났다”면서 “사정 라인의 균형이 이뤄지지 않으면 왜곡되고 편향된 보고로 독선만 가중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새누리당은 황 내정자와 김 내정자 모두 덕망과 전문성을 갖춘 인사라는 점을 부각시켰다. 새누리당 고위 관계자는 “지역보다 능력이 인선의 우선 기준”이라며 “두 내정자가 앞으로 하는 것을 보면 PK 사정 독점 논란은 자연히 수그러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인사청문회에서 총공세를 퍼부을 태세다. 경남 마산 출신인 황 내정자도 PK 편중 인사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고도 근시로 병역 면제를 받은 것은 약점으로 꼽힌다. 사법부(서울중앙지법원장)에서 행정부로 옮기며 3권 분립을 위배했다는 점도 공격 포인트다.
경남 사천 출신의 김 내정자에 대해선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과의 관계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장남의 병역 면제도 도마 위에 오를 것이 확실하다.
새누리당은 내정자들을 엄호하겠다는 의도를 감추지 않았다. 자질 검증에는 최선을 다하겠지만 불필요한 정치공세는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내정자들이 해당 조직과 업무를 잘 이해하고 일을 제대로 추진할 인물들”이라며 “야당은 청문회 본질과 무관한 정쟁이나 지엽적인 부분만 물고 늘어져 국민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PK 사정 장악 이슈가 확산되지 않을까 하는 위기감은 여전했다. 이날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내 여의도연구원 인사를 발표하자 “또 PK가 자리를 독점한 거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다고 한다. 청와대는 무리하게 ‘밀어붙이기’ 인사를 단행하고 새누리당은 그 뒷감당을 도맡아 해야 한다는 데 대한 불만도 적지 않았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