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종 교과서 필진, 교육부 수정 권고 철회 요구
입력 2013-10-24 18:38
교학사를 제외한 7개 한국사 교과서의 집필진이 24일 교육부의 한국사 교과서 수정·보완 권고를 수용할 수 없다며 철회를 요구했다.
금성·두산동아·리베르스쿨·미래엔·비상교육·지학사·천재교육 등 7개 고교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협의회(한필협)는 성명을 통해 “교육부가 어떻게든 교학사의 수정 권고 건수를 줄이고 다른 7개 교과서의 건수를 늘리려 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며 “교육부는 부당하고 편파적인 수정·보완 권고를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지난 21일 교학사 교과서를 포함한 한국사 교과서 8종 모두에 대해 829건의 내용을 수정·보완하라고 권고했다.
한필협은 수정 권고 사항을 만들고 검토한 전문가 자문위원회의 전문성을 집중적으로 문제 삼았다. 저자들은 “수정 권고 가운데 명백하게 사실과 다른 경우도 있고, 과거 국사편찬위원회의 권고를 받아 수정했는데 다시 원래대로 하라는 경우도 있었다”며 “하지만 교육부는 그 전문가들이 누구인지 여전히 밝히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저자들이 지적한 부분은 지난 21일 교육부가 발표한 수정 권고 내용 중 ‘두산동아 16번’ 등 8가지다. 한필협은 “2007년 중학교 역사(상) 수정·보완 권고에서는 ‘중국의 과거 지명을 한국식 발음으로 고치라(예: 지저우→제주 등)’고 했으나 이번에는 거꾸로 ‘중국식 발음으로 바꾸라’고 했다”며 “더욱이 금성출판사(금성 12번)에는 한국식 발음을 요구하면서 다른 출판사에는 중국식 발음으로 바꾸라고 요구하는 등 오락가락해 그 전문성이 의심된다”고 꼬집었다.
이어 “토지조사사업 시작연도를 1910년에서 1912년으로 고치라고 한 것(금성출판사 69번) 역시 전문가 자문위원회가 사실관계조차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토지조사국은 1910년 3월 설치됐으며 8월 23일 토지조사법이 공포돼 8월 말부터 경기도와 경상북도에서 착수됐다”고 설명했다.
저자들은 교육부의 권고를 따르지 않는 대신 자체 수정 계획을 이달 31일 공개한 후 출판사별로 교육부에 전달할 방침이다.
김수현 기자 siemp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