셧다운 여파… 美 경제지표 왜곡 우려

입력 2013-10-24 18:26

미국이 고장 난 계기판을 보며 차를 모는 운전자처럼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금융긴축 시기 판단을 앞두고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으로 경제 수치가 뒤틀린 탓이다. 전문가들은 정확한 측량 방법을 찾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23일(현지시간) 전했다.

통계 왜곡 가능성이 가장 큰 시기는 10월이다. 이달 1∼16일 셧다운으로 공공부문 근로자 수십만명이 일터에서 증발했었다. 극단적 단절 현상은 각종 경제 통계를 헝클어뜨릴 수밖에 없다. 실업률, 일자리 창출 지표 등 고용 동향이 대표적이다. 여파는 11월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고용통계는 통상 한 달 뒤 발표된다. 연말까지 정확한 수치를 기대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주식 투자자부터 경제정책 당국까지 한동안 의사결정에 골머리를 앓게 됐다.

미국 금융·통화정책을 총괄하는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양적완화 축소 결정을 일단 내년 초까지 미룰 가능성이 높다. 고용 상황은 중요한 판단 기준이다. 액면 그대로 믿기 어려운 10∼11월 통계로는 사정이 나아졌는지 나빠졌는지 제대로 알 수 없다. 셧다운 충격에서 자유로운 12월 통계는 내년 1월 발표된다.

지난 22일 9월 고용동향 발표 직후 뉴욕 증시는 크게 올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가 전날보다 10.01포인트(0.6%) 오른 1754.67을 기록했다. 다우존스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75.46포인트, 9.52포인트 올랐다. 고용 사정이 시원찮은 탓에 연준이 양적완화 출구전략을 늦출 것이란 기대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9월 새 일자리(14만8000개)는 기대치(18만5000개)를 크게 밑돌았다. 고용동향 왜곡 우려를 감안하면 출구전략이 내년 3월에나 가능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금융투자사 BOA메릴린치의 에이든 해리스는 “셧다운 등의 파급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오는 25일 나오는 톰슨 로이터-미시간대의 10월 소비자심리지수(최종)를 더욱 자세히 관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10월 소비자심리지수(예비)는 9월 77.5에서 75.2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10월 중순 이후 동향을 반영한 최종 수치는 더 낮아졌을 것으로 내다본다. 일시적 현상인 셧다운이 소비자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해리스는 이런 현상이 명확한 예측을 필요로 하는 경제부문의 전망과 판단을 어둡게 한다고 설명했다.

미 컨설팅업체 IHS의 금융부문 담당자인 폴 에델스타인은 “지금 같은 상황에선 소비자심리지수를 통해 민간 소비·판매 등의 지표를 파악할 땐 착시현상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