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사범 대부분 정치범수용소 구금” 탈북자 99.7% “北 신앙 자유는 거짓”

입력 2013-10-24 18:00 수정 2013-10-24 21:25


탈북자 8575명 조사 2013 北 종교자유백서

“2009년 할머니가 중국에서 과일박스에 성경책을 담아 돌아왔는데 집에 경비대들이 들어와 과일을 먹으려고 뒤졌다가 성경책이 나왔어요. 할머니는 경비대에 잡혀 보위부로 끌려갔고 수용소에 갔습니다.”

“2008년에 아는 분이 종교죄로 잡혀갔어요. 주일마다 모여 예배를 했거든요. 라디오도 갖고 있었어요, 대학졸업생이고 4개 국어를 했어요. 이 사람은 보위부에 잡혀간 뒤 행방불명됐어요.”

탈북자들이 증언한 북한 당국의 기독교 박해 사례다. 북한에서 종교활동은 엄격하게 금지돼 있다는 증언이다. 예배를 드리거나 성경을 가지고 있다가 잡히면 정치범수용소에 보내진다고 한다.

㈔북한인권정보센터 북한인권기록보존소는 2007년부터 지난 7월까지 탈북자 857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3 북한 종교자유백서’를 24일 발표했다.

응답한 8012명 중 7985명(99.7%)은 북한에 종교의 자유가 없다고 답해 북한의 종교자유 선전은 거짓인 것으로 밝혀졌다. 북한에서 일반적인 종교활동은 이루어질 수 없는 상황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1997년 이전 탈북자와 2003년 이후 탈북한 응답자도 같은 증언을 했다.

반면 북한에서 종교활동을 하더라도 처벌받지 않는다고 응답한 이들은 0.5%였다. 종교활동으로 체포될 경우 57.7%는 정치범수용소에, 11.9%는 교화소(한국의 교도소)에, 2.8%는 노동단련형을 받는다고 응답했다.

종교자유백서는 “북한 당국은 실리를 추구하기 위해 종교를 정치적으로 이용할 뿐 실제로는 종교 단체의 활동을 금지하고 있다”며 “2000년대 이후 보고된 종교 박해 관련 사건만 해도 1034건”이라고 밝혔다. 보고된 사건 중에는 종교활동을 한 것이 517건(50.0%)으로 가장 많았고 성경 등 종교물품 소지 246건(23.8%), 종교전파 120건(11.6%), 종교인 접촉 51건(4.9%) 순이었다.

종교시설(교회, 성당, 절)에 합법적으로 가본 적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8175명 중 61명(0.7%)만이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북한 당국이 해외에 밝힌 것과 달리 일반 주민들의 종교활동은 극히 제한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응답자 중 1.3%는 북한에서 종교활동에 참가했다고 답했다. 자신이 종교활동에 직접 참여하지는 않더라도 타인의 비밀 종교활동을 목격한 응답자가 평균 5.3%였다. 또 북한에서 성경을 본 적 있다는 응답자는 평균 4.2%였다. 특히 2000년 이전 탈북자 중 성경을 본 경험이 있는 탈북자는 단 7명에 불과했지만 그후 성경을 본 탈북자는 399명이었다. 최근 북한에 성경 유입이 늘고 있음을 보여준다.

탈북자의 현재 종교 분포는 개신교 48.0%, 천주교 10.6%, 불교 9.5% 순이었다.

북한인권기록보존소 윤여상 소장은 “북한은 헌법에 ‘신앙의 자유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북한에서의 종교 특히 기독교 활동은 생명을 담보로 해야 할 만큼 위험한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유영대 기자 yd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