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문위는 ‘역사 교과서 수정’ 충돌… 새누리 “왜곡 교과서로 교육 못해”

입력 2013-10-23 17:59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교육부가 ‘이념 편향’ 논란과 관련해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에 대해 수정·보완을 권고한 문제를 놓고 정면으로 충돌했다.

민주당은 교육부 방침에 이의를 제기하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긴급현안질의를 요구했으나 새누리당의 반대로 무산됐다. 그러자 단독 상임위를 개최해 새누리당의 태도를 문제삼았고, 새누리당은 다시 기자회견을 통한 맞대응으로 공방을 이어갔다.

교문위 민주당 간사인 유기홍 의원은 23일 야당 의원들만 참석한 회의에서 “오는 31일 예정된 교육부 확인 국감에서 이(수정·보완) 문제를 다루기에는 시간이 너무 촉박하다”며 “새누리당이 얼토당토않은 이유로 (긴급현안질의를) 거부하고 정쟁 운운하는 것은 맞지 않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국감에 불참한 서남수 교육부 장관에 대해서도 “무책임하다”고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민주당과 한국사 교과서 집필진을 싸잡아 비판했다. 새누리당 간사인 김희정 의원은 “야당이 단독으로 상임위를 소집했는데 기자회견장에서 할 수 있는 정도의 발언만 하고 마무리했다”며 “올바른 교과서 만들기를 위한 것이 아니라 정쟁으로 이끌고 가기 위한 상임위 요구가 아니었나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염동열 의원은 “좌편향·부실 7종 역사 교과서 집필진이 교육부의 수정·보완 권고를 거부하는 것은 ‘상한 음식을 급식으로 제공하겠다’는 것과 다름없다”며 교과서 필진들을 문제삼았다.

여야 교문위 간사는 라디오에 출연해서도 같은 문제로 ‘장외 공방’을 이어갔다. 김 의원은 “(8종 교과서에서) 800건이나 문제가 밝혀졌는데 이런 왜곡을 그대로 아이들에게 가르칠 수는 없다”며 “(당이) ‘좌파 왜곡’이라고 주장했던 7종 교과서에 600여건의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8종 교과서 집필자들이 모두 (교육부 권고를) 받아들여 올바른 교과서를 만들 수 있도록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우편향’ 논란을 빚은 교학사 교과서의 이념 편향 내용에만 수정·보완 지시가 내려지지 않았다는 지적에는 “(여야가) 각각의 잣대를 가지고 (주장)하면 안 된다. 국가의 검정 기준, 집필 기준에 맞게 수정됐는지 얘기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에 맞서 유 의원은 “(교학사를 제외한) 다른 7종의 교과서는 검인정을 거쳐 이미 사용되고 있던 것”이라며 “(7종을) 교학사와 동렬로 보는 것은 잘못됐다”고 재반박했다. 그는 교학사 교과서에 대해 “오류가 너무 많아 기본 품질을 못 갖춘 불량 교과서”라며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잘못된 역사관을 가진 교과서라고 봤기 때문에 검정 취소를 요구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동근 기자 dk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