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발언후 여당의 시각 “철저한 진상조사 우선돼야 안정 위해 총장 조기 임명을”

입력 2013-10-22 18:58 수정 2013-10-23 01:08

새누리당은 22일 검찰 내분 사태가 진실공방으로 흐르는 것을 막기 위해 철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새로운 검찰총장을 빨리 임명해 검찰 조직을 안정시키는 게 급선무라고 지적했다.

여당 의원들은 윤석열 여주지청장(전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장)의 발언 배경을 파악하기 위해 분주했다. 한 의원은 “윤 지청장도 보수 성향 검사로 알려진 인물인데 왜 그랬는지 전혀 모르겠다”면서 “수사팀 내 갈등이 폭로의 배경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정보원 대선·정치 개입 사건과 관련해 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한 데 대해 공소유지가 어렵다는 얘기가 나온다”면서 “향후 재판에서 선거법 관련 기소 내용이 무죄가 나올 경우 무리한 수사를 했다는 비난을 피하기 위해 지휘부에 책임을 떠안기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검찰의 근무기강 확립을 위해 시시비비를 명확히 가려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김재원 의원은 “국정감사장에서 지검장과 전 수사팀장이 서로 다른 말을 하는 상황이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 “철저한 진상조사를 통해 사실관계를 따진 뒤 검찰청법 등에 따라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지청장의 배후를 의심하는 시선도 적지 않다.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민주당의 대선 불복 움직임 과정을 보면 공교롭게도 노무현정부 당시 특채된 인사들과 연관성 있어 그 배후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2003년 광주지검 검사로 특채됐던 윤 지청장, 2003년 경찰 간부로 특채된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그리고 통합진보당의 경선 대리투표를 무죄 판결해 국민의 우려를 샀던 송경근 판사는 2004년 대전고법 판사로 특채된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여권 내부에서는 윤 지청장이 채동욱 전 검찰총장과 특별한 관계라는 얘기도 끊이지 않았다. 따라서 검찰총장 인선을 서둘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수도권의 한 의원은 “그동안 검찰은 여러 검란(檢亂)을 거치면서도 빠르게 자기 치유하는 모습을 보여 왔다”면서 “검찰은 새 총장을 중심으로 내분을 수습하고 건강한 조직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