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석채 거취 또 수면위로… 재계 “퇴진압박 신호인 듯”

입력 2013-10-22 18:39


검찰의 전격적인 압수수색에 KT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이석채(사진) 회장의 거취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올라올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 회장의 전임자였던 남중수 전 사장도 검찰 수사를 받으면서 물러났었다. 재계에서는 마치 ‘데칼코마니(판박이)’ 같다고 본다.

KT는 22일 검찰의 압수수색에 대해 “참여연대 고발 건에 따른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정상적 경영 판단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해 왔으며 검찰 조사에도 성실히 응해 왔다”고 강조했다. 겉으로는 차분하게 검찰에 대응한다고 밝힌 것이다.

하지만 KT는 검찰의 압수수색이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KT가 밝힌 대로 성실히 수사에 협조했다면 굳이 압수수색을 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재계 일각에서는 검찰의 압수수색이 사실상 퇴진을 압박하는 카드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정권 핵심부에서 이 회장이 물러나야 한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이 회장 거취 문제는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반복적으로 불거지고 있다. 지난 8월 청와대에서 이 회장의 사퇴를 종용했다는 이야기가 흘러나왔으나 KT 측은 “사실 무근”이라고 부인한 바 있다.

이 회장은 올 상반기에도 퇴진 문제 때문에 한바탕 홍역을 치렀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사퇴 종용설, 참여연대 고발에 따른 압박 등으로 이 회장이 물러날 것이라는 소문이 시중에 떠돌았다. 이 회장은 본인의 거취 문제가 나올 때마다 “사퇴는 없다”는 강한 입장을 표명해 왔다. 2009년 취임한 이 회장은 지난해 연임에 성공해 2015년 3월까지 임기를 보장받았다.

그러나 이 회장의 거취는 점점 불투명해지고 있다. 그동안 KT의 최고경영자는 정권 교체와 운명을 함께했기 때문이다. 참여정부 시절 임명된 남 전 사장의 경우 2008년 이명박정부 출범 이후 임기를 다 채우지 못하고 사장직에서 물러났었다. 당시 남 전 사장은 압박을 버티다 검찰 수사에 따른 부담감으로 퇴진을 했었다. 이 회장이 같은 길을 걷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KT는 새 정부 출범과 최고경영자의 교체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다고 누차 강조하고 있다. KT는 2002년 8월 민영화됐고, 현재 정부 지분은 전혀 없다. 지분이 없는데 경영에 간섭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고, 있어서도 안 된다는 논리다. KT 관계자는 “급변하는 통신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는데 이런 문제로 회사가 어수선한 상황에 처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