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학사 외 교과서 7종 필진, 자체 수정안 만든다

입력 2013-10-22 18:25 수정 2013-10-23 01:01

교학사를 뺀 7종 고교 역사교과서 집필진은 교육부의 수정·보완 권고를 거부하고 자체 수정안을 만들기로 했다. 교육부는 다음달 1일 집필진의 수정안을 보고 수정명령권 발동 여부를 판단할 계획이어서 교과서 논란의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7종 교과서 집필자 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주진오 상명대 교수는 22일 “교육부의 수정 권고안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다만 “내용상의 오류 부분에 대해서는 자체 수정할 계획”이라면서 “교육부의 수정 권고안과 관계없이 우리가 스스로 판단한 부분에 따라 자체적인 수정안을 마련해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교육부의 이번 발표는 (교학사 외) 다른 출판사까지 싸잡아 어떻게든 꼬투리를 잡기 위해 애쓴 모습”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교육부는 8종 교과서에서 829건의 오류가 발견됐다며 수정·보완을 권고했다.

7종 교과서 집필진의 자체 수정안 발표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출판사별로 수정 작업을 하고 취합해야 하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나 교육부가 정한 시한인 다음달 1일 전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어차피 자체 수정안도 교육부 장관의 허가를 얻어야 하기 때문이다.

자체 수정안이 교육부 권고와 일치한다면 수습 국면으로 접어들겠지만 이견이 있어 수정명령권이 발동된다면 사태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

야당은 이날 교육부의 수정·보완 권고를 강도 높게 비판하고 서남수 장관의 해임을 촉구했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민주당 등 야당 의원들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부가 한국사교과서 8종 모두를 수정 지시하는 유례없는 사태가 벌어졌다. 교학사 교과서 살리기가 도를 지나친 것”이라며 “검정 합격된 7종 교과서까지 물귀신 작전으로 수정 명령하겠다고 협박하는 서 장관은 이 모든 혼란에 책임을 지고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도경 김아진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