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고·외고 등 전형위반 94건 적발
입력 2013-10-22 18:25 수정 2013-10-22 22:58
지원자의 이름과 출신 학교를 가리지 않은 채 평가를 진행해 신입생을 선발하는 등 입학전형 지침을 위반한 외국어고와 자율형사립고 등이 감사에서 대거 적발됐다.
교육부는 자사고·외고·국제고·자율학교의 최근 3년간 입시 및 전·편입 전형에 대해 17개 시·도교육청 주관으로 감사를 실시해 지침 위반 94건을 적발하고 경고, 주의 등 처분을 내렸다고 22일 밝혔다. 지침 위반 학교는 감사 대상 75개교 중 45개교에 달했다. 자사고·외고·국제고 10곳 중 6곳은 입시 과정에서 부정입학 등을 의심할 소지가 있었다는 얘기다.
A외고는 신입생 입학전형 때 지원자 정보가 기재돼 있는 원서의 접수와 분류 작업을 맡았던 실무 담당자를 면접위원으로 위촉해 기관 경고를 받았다. B외고는 신입생과 전·편입생을 선발하면서 지원자 출신학교와 성명 등이 노출된 상태에서 평가를 실시했다. 부정이 개입할 여지가 있음을 여실히 보여주는 사례들이다.
C외고는 동점자인 사회적 배려 대상자 전형 응시자 2명 중 1명을 별도 사정절차 없이 합격자로 선발했다가 적발됐다. D국제고·E외고 등은 자기개발계획서에 쓸 수 없는 경시대회 수상경력 등을 기재했음에도 감점 처리를 하지 않았다.
영훈국제중 사태 이후 입시비리 근절 차원에서 시작된 감사였지만 눈에 띄는 강력한 조치는 없었다. 교육부 관계자는 “특정인을 합격시키기 위한 의도성은 없어 검찰 고발은 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심할 만한 정황이 포착됐음에도 이를 제대로 밝히지 못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이번 감사에서 서울 대원외고는 영훈국제중 입시비리 파문 이후 3월 국제중 재단을 감사할 때 대원국제중과 함께 감사를 받아 제외됐다. 자율학교인 공주사대부고는 태안 해병캠프 사고로 인해 감사를 받지 못했고, 전·편입학 경쟁률이 낮은 자사고 14개교도 감사 대상에서 빠졌다.
정승훈 기자 shj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