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초 한국장애인고용안정협회에 한 통의 전화가 걸려왔다. 정부 부처에서 비정규직 근로자로 일하고 있는 하지 지체장애인 A씨(34)였다. 그는 전화기에 대고 울분을 토했다.
A씨는 “캐비닛을 배정할 때도 지체장애인이 이용하기 힘든 가장 위 칸을 배정하고, 업무도 높은 곳에 있는 물건을 꺼내거나 물건을 드는 등 다리 때문에 혼자 하기 힘든 업무만 맡긴다”고 말했다. 수차례 업무를 변경해 달라고 요청했지만 돌아온 대답은 “비정규직 장애인이면 그냥 시키는 대로 잡일이나 하고 힘들면 그만두라”는 모진 말뿐이었다.
정부 주요기관에 고용된 장애인 10명 중 6명은 비정규직인 것으로 21일 드러났다. 새누리당 최봉홍 의원이 정부 24개 부·처·청의 장애인 고용현황을 확인한 결과 전체 고용 장애인 773명의 451명(58.3%)이 비정규직 상태였다. 장애인 고용 비율도 전체 인원 3만8015명의 2.0%에 그쳤다.
식품의약품안전처와 관세청은 각각 15명과 1명의 장애인을 모두 비정규직으로 고용했다. 장애인 비정규직 고용 비율이 90%가 넘는 곳도 농촌진흥청, 산림청, 문화재청 등 3곳이나 됐다. 농진청은 장애인 56명 가운데 54명(96.4%), 산림청은 71명 중 65명(91.5%) 문화재청은 43명 중 39명(90.7%)이 비정규직이었다. 농림축산식품부, 환경부, 검찰청, 보건복지부 등도 비정규직 장애인 근로자가 80%를 넘었다.
특히 농진청과 통계청, 중소기업청, 경찰청, 검찰청, 환경부 등은 그나마 장애인 공무원 의무고용 기준 2.5%도 채우지 못했다. 장애인을 모두 정규직으로 채용한 곳은 국가보훈처(4명)와 국토교통부(50명) 2곳에 불과했다.
노용택 기자 nyt@kmib.co.kr
[단독] 장애인 두 번 울리는 정부… 24개 부처 고용 58% 비정규직 설움
입력 2013-10-22 0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