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수사외압’ 발언 파장] 목소리 커지는 민주… 외압설 실체규명에 화력 집중

입력 2013-10-21 18:06 수정 2013-10-21 22:36


민주당은 국가정보원 직원들이 트위터를 이용해 대선에 개입했다는 의혹과 관련, 여권과 검찰 수뇌부를 강하게 성토했다. 특히 특별수사팀장이었던 윤석열 여주지청장이 21일 국정감사에서 “외압을 받았다”고 폭로함에 따라 향후 책임자 처벌 요구 등 대여(對與) 투쟁의 강도를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민주당은 전날 트위터 대선개입 실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검찰의 ‘공소장변경허가신청서’를 공개한 데 이어 이날은 국회와 국정감사장에서 검찰의 축소수사 의혹을 제기하며 대대적인 공세를 펼쳤다.

박용진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보고했는데 못 받았다고 우기고, 적법한 체포를 불법으로 몰아세우는 여당과 검찰 수뇌부의 태도는 국정원 수사를 축소·왜곡·은폐하려는 거짓의 집체극”이라며 “윤 지청장을 원위치시키고 수사 결과에 손대지 말라”고 촉구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윤 지청장이 언급한 외압설의 실체 등을 규명하는 데 화력을 집중했다. 김한길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찰 수뇌부가) 공소장변경허가신청서를 철회한다면 정권에 대한 검찰의 명백한 백기투항이자 국민에 대한 배신행위”라고 경고했다. 신경민 최고위원은 “윤 지청장이 수사팀장으로서 국정원 트위터를 보고 침묵했다면 검사도 아니다”면서 “마찬가지로 불의에 침묵하면 보통 대통령, 정상 대통령이라 하기 어렵다”고 박근혜 대통령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민주당이 다시 장외투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정세균 상임고문은 트위터 글에서 “지난 대선은 명백한 부정선거”라며 “국정감사가 끝나는 즉시 행동하는 양심, 깨어있는 시민, 자신을 민주주의자라고 생각하는 국민을 대규모로 조직해 고강도 2차 투쟁에 돌입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새누리당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정 상임고문 발언은) 국민을 선동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무소속 안철수 의원도 성명을 통해 “(윤 지청장을) 즉각 업무에 복귀시키고 독립적 수사와 공소유지를 보장하라”며 “업무 복귀를 받아들이지 않겠다면 검찰 수사를 중지하고 특별검사를 통해 진실을 규명하는 게 국민 요구에 부합한다”고 가세했다.

엄기영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