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의 부적절한 인사… 삼성 출신 전산 책임자, 퇴임후 또 삼성으로

입력 2013-10-21 18:01 수정 2013-10-21 22:25

국세청 전산정보관리관에 삼성 출신 인사가 기용됐다가 퇴임 직후 삼성으로 돌아갔으며, 이 인사의 관리관 재직 시 삼성 계열사의 국세청 사업 수주액이 70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의당 박원석 의원은 21일 국세청 국정감사에 앞서 이 같은 내용의 자료를 배포했다. 박 의원에 따르면 삼성SDS와 삼성전자에 근무하던 이철행씨가 2006년 국세청의 개방형 임용직인 전산정보관리관에 임용됐다가 2009년 퇴임 직후 삼성SDS로 돌아갔다.

이 전 관리관 재직기간(2006년 10월∼2009년 1월)에 삼성전자, 삼성SDS 등 삼성 계열사가 총 709억여원의 국세청 전산 관련 계약을 수주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전산 관련 계약금액(1610억여원)의 44%에 해당한다.

이 전 관리관 재직 시 국세통합시스템 전환 방안이 추진됐는데, 이 사업도 삼성SDS가 수주했다. 삼성SDS는 지난해 국세청이 분할 발주한 차세대 국세행정시스템 1단계 사업(409억원 규모)을 LG CNS와 SK C&C를 제치고 수주했으며, 올해 7월에는 2단계 사업(1588억원 규모)까지 따냈다.

박 의원은 이 전 관리관이 현재 팀장을 맡고 있는 삼성SDS 통합서비스팀이 국세청에서 수주한 시스템통합(SI) 업무를 관리하는 조직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삼성SDS 측은 “내부시스템 운영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국세청 관련 사업과는 무관하다”고 반박했다.

박 의원은 “사기업 출신 인사가 유관업무를 담당하던 기관에 임용된 것도 부적절한데 퇴임 후 다시 소속 기업으로 돌아간 것은 이해충돌을 우려할 수밖에 없는 경우”라며 “국세청은 기업 출신 인사 임용에 엄격한 기준을 적용하고, 공직자윤리위원회도 개방형 고위공직자의 재취업 기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천지우 기자 mog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