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댓글 탓 대선서 졌나”… 새누리, 논란 불끄기 주력

입력 2013-10-20 18:25 수정 2013-10-21 00:48

새누리당은 국정원 직원들이 트위터로 대선에 개입한 추가 정황이 드러나자 불길 차단에 주력했다.

윤상현 원내수석부대표는 20일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특별수사팀이 국정원 직원 3명을 추가 체포하고 공소장을 변경한 사실과 관련해 “(검찰이 공소장 변경) 취소를 검토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불법으로 (변경)한 것이기에 변경한 것을 (공소장에서) 끄집어내서 검찰이 다시 수사를 해야 할 것”이라며 “직접 증거라 해도 불법 체포에 따라 불법 취득한 정보이기에 법적 효력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검찰이 국정원 직원 3명을 불법적으로 체포한 뒤 얻은 정보이기 때문에 법률적 증거로 보기 힘들다는 논리다.

윤 수석부대표는 윤석열 전 특별수사팀장이 업무에서 배제된 것과 관련해 “검찰이 적절한 조처를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2233건의 트윗도 많은 게 아니냐’는 질문에 “지난 정부의 일이기에 비호할 생각은 추호도 없다”면서 “선거 개입이 있다면 검찰과 법원에서 밝혀질 문제”라고 답했다.

국군 사이버사령부 정치 댓글 작성 의혹과 관련해서는 “철저하게 개인적 차원에서 이뤄진 일이지, 조직적 개입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최경환 원내대표는 “댓글 때문에 민주당이 대선에서 졌다고 믿을 국민이 어디 있느냐”고 반박했다. 김태흠 원내대변인은 지난 19일 서울 도심에서 열린 민주당 장외집회에 대해 “민주당은 비행청소년처럼 툭하면 집을 나간다”고 비꼬았다.

새누리당이 적극 방어에 나선 것은 군 댓글 의혹과 윤 전 팀장의 업무 배제 등 ‘쌍끌이’ 의혹을 조기에 진화하지 않을 경우 의혹이 확대 재생산돼 정국 주도권을 빼앗길 수 있다는 우려감 때문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은 윤 팀장 업무 배제와 관련해 검찰권 남용에 대한 정당한 인사 조치라는 논리로 정면대응했다. 군 댓글 논란에 대해선 민주당의 무책임한 정치공세라고 맞불을 놓았다.

하지만 여권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쌍끌이 의혹이 앞으로의 국감 이슈를 집어삼킬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0·30 재·보궐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걱정도 없지 않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