캘수록 커지는 동양證 불안감… ELS도 장담 못해
입력 2013-10-20 18:20
‘동양 사태’를 둘러싼 책임이 집중 성토된 금융당국 국정감사 이후 동양증권에 대한 시장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동양그룹 부실에 따른 파장이 예상보다 훨씬 클 수 있다는 감독당국의 내부 문건이 확인됐으며 금융당국의 설명과 달리 주가연계증권(ELS)·파생결합증권(DLS) 투자자도 안전하지 않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동양증권에서는 3개월 만에 6조5000여억원이나 빠져나갔다.
최근 민주당 이종걸 의원은 “지난해 7월 금융감독원이 금융위원회에 보고한 문건 원본을 보니 무섭다”며 “동양그룹이 부실해지면 동양증권에 미치는 영향이 어마어마하게 크다는 내용”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지난해 7월 당시 동양증권의 유동성은 4000억원밖에 남지 않았고, 지금은 더욱 악화됐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금감원은 금융위에 ‘동양증권의 ELS 자산을 분리해둘 필요가 있다’고 보고했는데, 이달까지도 분리가 되지 않았다”며 “만일 연쇄 뱅크런이 일어날 경우 금융시장에 나타날 결과는 아찔하다”고 말했다.
이 의원실 관계자는 20일 “금감원으로부터 외부 비공개 조건으로 원본 보고서를 넘겨받았다”며 “알려지는 경우 시장에 큰 충격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업어음(CP)·회사채를 제외하면 동양증권에 예탁된 자산은 안전하다”는 금융당국의 설명과 달리 국회 정무위원들은 ELS나 DLS 투자자도 안심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동양증권이 ‘막다른 골목’에 이르렀을 때 함부로 고객 자산을 활용할 수 없도록 안전장치를 해 두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동양증권 정진석 사장은 “내부적으로 자금을 별도 분리해뒀다”고 했지만 이 의원은 “2조원에 이르는 ELS 자산을 당장 분리해 한국예탁결제원 등에 예치하라”고 촉구했다.
민주당 정호준 의원도 “증권사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동양그룹의 CP나 회사채뿐 아니라 ELS, DLS 투자자들도 큰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최수현 금감원장은 “증권사들의 수익성 때문에 ELS, DLS 자산이 별도 관리가 되지 않고 있긴 하다”며 “앞으로 더욱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도록 조치하겠다”고 답변했다.
동양증권의 신용리스크 확대도 우려스럽다. 특별검사반의 작업에 따라 불완전판매 의혹이 확인되면 증권사에 거액의 배상 책임이 발생할 우려 때문이다. 이를 반영하듯 동양증권이 이달 1∼15일 청약한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 10·11호는 발행이 취소됐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지난 11일 기준 동양증권의 총 자산은 7조4572억원으로 6월 말(14조365억원)보다 6조5793억원 줄어들었다. 계열사들의 법정관리 신청 여파로 뱅크런이 있었기 때문이다. 자산 가운데 현금 및 예치금의 감소 폭이 가장 컸다. 한기평은 “충분한 자구계획과 구조조정으로 손실 폭을 최소화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시점”이라고 지적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