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서기관들 퇴직하면 산하기관 고위직 영전
입력 2013-10-20 17:32
최근 5년간 퇴직한 산업통상자원부(옛 지식경제부 포함) 서기관들이 산하·유관기관에 재취업하면서 고위 간부로 ‘영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한표 의원이 20일 산업부에서 제출받은 ‘4급 이상 직원 재취업 현황’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 8월까지 서기관 15명이 퇴직하고 공기업 등 산하기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이들이 받은 직급은 상임이사·이사(6명), 상무이사(4명), 본부장(3명), 감사(1명), 부사장(1명)이었다. 정부 중앙부처에서 서기관은 보통 과장직을 맡는다. 15명이 재취업한 기관은 산업단지공단, 지역난방공사, 가스안전공사, 석유관리원, 광해관리공단, 전력거래소, 디자인진흥원, 한전KPS, 강원랜드 등이다.
같은 기간 산업부·지경부에서 퇴직해 유관기관으로 재취업한 서기관도 19명 가운데 13명이 업종별 협회, 공제조합, 연구·인증기관의 부회장·부원장을 맡았다. 규모가 작은 기관의 기관장을 맡거나 사무총장 보직을 받은 경우가 있지만 부회장·부원장 이하의 직급으로 재취업한 사례는 없었다. 재취업한 유관기관은 공작기계산업협회, 전력기술인협회, 계량측정협회, 소프트웨어공제조합, 타이어공업협회, 제품안전협회, 시험인증산업협회, 의류시험연구원, 섬유산업연합회 등이다.
산업부 본부 현원 887명 중 서기관은 140명으로 약 15.8%다. 김 의원은 “부처 실무책임자인 서기관이 퇴직 후 곧바로 이해관계가 있는 산하기관이나 유관기관·단체·협회 등의 고위 간부로 옮겨가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