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담보대출 1265억 ‘깡통’ 전락 위험”
입력 2013-10-18 18:17
서울·수도권에 깡통주택으로 전락할 위험이 있는 대출 잔액이 1265억원에 이르는 등 가계대출 부실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홍종학 의원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받은 ‘주택담보대출의 LTV×DTI분위 구간별 잔액’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담보대출인정비율(LTV) 100% 기준을 초과하는 대출 잔액이 990억원, 총부채상환비율(DTI) 100%를 초과하는 대출 잔액이 275억원이라고 18일 밝혔다.
LTV가 100%를 초과하면 담보로 잡힌 집을 팔아도 빚을 전부 갚지 못한다는 의미다. DTI 100% 초과도 빚이 연소득보다 많아 소득으로 전부 갚을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당국이 안전하다고 분류하는 LTV 60% 이하에도 연소득 절반 이상을 대출금 갚는 데 써야 하는 DTI 50% 초과 대출 잔액이 7조1233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 의원은 “LTV와 DTI 기준을 동시에 적용받는 주택담보대출 잔액의 13.7%가 DTI 50% 초과인 상태”라며 “소득의 절반만 가지고 생활하기 어렵기 때문에 부실화 가능성 높다”고 지적했다.
한편 금감원이 홍 의원에 제출한 ‘국내 은행 가계대출 연체 잔액’을 보면 시중은행의 가계대출 연체 증가속도가 대출 증가속도보다 5배나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 말부터 2013년 6월 말까지 지난 3년6개월 동안 시중은행 가계 대출의 증가율은 3.6%였고 연체 증가율은 19.9%였다.
홍 의원은 “채무자 연체가 굉장히 빨리 증가한다는 것은 부실의 또 다른 지표”라며 “연체가 부실채권으로 양산될 위험이 있어 당국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은애 기자 limitle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