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경제수석과 ‘동양 논의’ 관련 금감원장 위증 논란…하루 두 차례 답변 번복

입력 2013-10-18 18:00 수정 2013-10-19 00:41

18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금감원 국정감사는 전날에 이어 동양 사태에 대한 금융 당국의 책임을 추궁하는 ‘동양 국감’ 2라운드였다.

이날 국감에서는 최수현 금감원장의 위증 문제가 뜨거운 이슈로 부각됐다. 최 원장은 오전까지만 해도 “조원동 청와대 경제수석, 홍기택 산은금융지주 회장과 청와대에서 만나 동양그룹 관련 문제를 논의했느냐”는 질문에 거듭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하지만 오후에 민주당 김기식 의원이 “산업은행 측에 질의해 ‘회동에서 저희 은행은 동양그룹에 대한 담보·대출 현황을 설명했다’는 문서 답변을 받았다. 이는 최 원장의 명백한 위증”이라고 폭로하자 돌변했다. 최 원장은 “8월 중하순쯤 조 수석, 홍 회장 등 2명과 만난 기억이 있으며 동양에 대해 논의했지만 만기 연장 등 ‘봐주기’ 내용은 없었다”고 기존 발언을 정정했다. 그러다가 저녁에 속개된 국감 자리에서 김 의원의 추궁이 계속되자 ‘동양’ 회동에 조 수석, 홍 회장 2인 외에 신제윤 금융위원장까지 있었던 사실을 실토했다. 결국 최 원장은 이날 하루에만 국감에서 두 차례 위증을 한 셈이다.

더욱이 전날 신 위원장도 동양 사태와 관련, 조 수석 등과 만났느냐는 질문에 “차 정도만 마셨지 동양 얘기는 없었다”고 대답한 바 있어 금융 당국 수장들이 모두 거짓말을 했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게 됐다. 게다가 이들의 위증 논란으로 청와대 회동에서 동양과 관련한 은밀한 이야기가 오간 것 아니냐는 의혹을 자초한 격이 돼버렸다.

민주당 의원들은 최 원장과 신 위원장에 대해 위증 혐의로 고발할 것을 검토키로 했다.

한편 의원들이 “제2, 제3의 동양 사태를 막아야 한다”며 앞으로 부실 가능성이 있는 그룹이 있는지 묻자 최 원장은 “4곳 정도가 있다”고 답했다. 김정훈 정무위원장이 “위험하다는 뜻이냐”고 묻자 최 원장은 “문제가 있다는 것은 아니고, 기업어음(CP)이나 회사채를 계열 금융사를 통해 유통시키고 있다는 뜻”이라며 서둘러 사태를 진화했다.

동양그룹의 불완전판매, 경영진의 도덕적 해이 비판도 계속됐다. 민주당 김기준 의원은 “동양증권이 투자위험 고지 내용이 빠진 불법 상품안내장으로 투자부적격 등급의 회사채를 ‘묻지마’ 식으로 판매했다”고 주장했다. 새누리당 안덕수 의원은 “설득하기 좋은 부녀자나 노인들을 상대로 ‘동양그룹은 절대로 부도날 염려가 없다’는 거짓말로 CP를 강매했다”고 말했다. 동양증권 정진석 사장은 “백지상태에서 서명을 받은 뒤 필요한 정보를 채워 넣은 정황이 있다”는 질타에 대해 “고객이 백지에다 서명은 왜 하셨는지 이해가 잘 안 간다”고 비꼬아 눈총을 사기도 했다.

동양그룹 현재현 회장은 부인 이혜경 부회장이 법정관리 신청 직전 동양증권 개인 계좌에서 6억원을 인출했다고 시인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조원진 의원은 “혹시 (현 회장 내외가) 비자금을 조성한 사실이 있느냐”고 압박했다.

고세욱 기자 swk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