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혹 증폭’ 사이버사령부는… 2009년 北 ‘7·7 디도스 공격’ 계기 전문인력 양성·사이버전 대비 설립

입력 2013-10-17 22:31

국방부는 국군 사이버사령부 소속 요원들의 댓글 작업이 개인적인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지 조직적으로 이뤄진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17일 “지난 15일 김관진 국방부 장관이 조사를 지시한 뒤 증거인멸을 막기 위해 즉각 관련 요원들이 소속된 사이버심리전단(530단) 모든 컴퓨터의 사용을 중단시켰다”며 “의혹을 받고 있는 요원들의 인터넷 ID를 제출받아 이들의 댓글 내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국방부는 관련 요원이 몇 명인지 어떤 내용의 글을 올렸는지는 밝히지 않고 있어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국군 사이버사령부는 2009년 북한의 소행으로 추정되는 ‘7·7 디도스 공격’을 계기로 해킹 등 북한의 사이버전에 대응하기 위해 2010년 1월 1일 출범했다. 현재 사이버사령부는 본부와 사이버전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31단, 심리전단인 510단, 사이버심리전단인 530단, 교육 및 훈련을 맡는 590단으로 구성되며 현재 인원은 460여명으로 알려졌다. 사이버사령부는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계획을 수립하고 전문 인력을 육성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사이버전을 실행한다.

출범 당시 사령관은 준장이었지만 이후 소장으로 격상됐고, 소속도 정보본부에서 국방부 직할 기능사령부로 격상됐다. 그만큼 사이버전의 중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사령부 요원은 대부분 사이버 전문가지만 과거 대북(對北) 심리전 활동을 해온 요원도 적지 않다. 2004년 6월 3차 남북 장성급회담의 합의에 따라 군사분계선(MDL) 인근에 배치된 방송 확성기 등 심리장비들이 철거되자 국방부는 이 업무를 담당해온 심리전단 요원들을 사이버전 전담 요원으로 전환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