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모 부대와 서울의 한 사립고 사이에 ‘표창장과 위문금’을 주고받는 과정이 이상하다며 민주당 김광진 의원이 의혹을 제기했다. 표창장은 입학사정관제 등 대학 입시에서 비중 있게 사용되는 터라 논란이 예상된다.
김 의원은 17일 강원도에 있는 육군 A부대의 ‘2011년 96건, 2012년 117건 위문금 접수내역’을 분석한 결과 B고교로부터 매년 2000만원 이상 위문금을 받아온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최근 4년간 이 학교에서 받은 돈만 9400만원에 달한다는 것이다. 통상 학교에서 군부대에 전달하는 위문금은 연간 200만원 정도다.
A부대는 B고교 학생들에게 매년 표창장을 수여하고 있다. 학교 측이 수상 대상자를 선정하면 부대가 이들에게 표창장을 주는 식이다. 김 의원은 A부대가 표창장 받을 학생이 어떤 학생인지 전혀 관심을 두지 않은 채 학교 측 요구대로 표창을 해왔다고 지적했다. 표창장 수여자 중 재물손괴로 기소유예 처분까지 받은 학생이 있었다고 김 의원은 밝혔다. 이에 대해 육군 측은 “학교의 추천을 믿고 표창하는 구조여서 부대가 직접 검증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B고교도 A부대에 전달한 위문금이 매년 1000만원 정도였다며 ‘거액 위문금’이란 지적은 과장됐다고 주장했다. 이 학교 교감은 “해당 부대에 체험행사를 가곤 하는데 이때 쓰인 체험학습비가 위문금으로 함께 계산된 것 같다”며 연간 2000만원이 넘는 돈을 전달하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의원은 학교마다 통상 200만원 정도인 위문금에 비해 1000만원도 많은 액수라고 지적했다.
학교가 위문금을 마련하려고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돈을 걷었다는 주장도 나왔다. 올 초 이 학교를 졸업한 P군은 “학교 측이 위문금으로 학생들에게 매년 1만원 가까이 걷고 있다”며 “위문금을 내지 않을 경우 독촉도 한다”고 말했다.
이에 학교 측은 학생들의 자발적 모금이라고 해명했다. 학생들이 내는 위문금 액수 결정도 학생회와 대의원회를 거쳐 의결되고 있어 전혀 강제성이 없다는 것이다. 학교 관계자는 “해당 부대와는 자매결연을 했고 15년 넘게 인연을 이어오고 있다”며 “하나의 전통처럼 된 것이지 강제는 전혀 아니다”고 말했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단독] 군부대·사립고의 거래인가… ‘재물손괴’ 학생도 상 받아 논란
입력 2013-10-18 0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