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안전확인 미흡한 日원전부품 700억원대 수입해”

입력 2013-10-17 18:31 수정 2013-10-17 22:25

17일 국회에서 열린 원자력안전위원회, 한국수력원자력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여야가 한목소리로 원전 기관의 안전불감증과 기강해이, 정부의 관리 부실을 질타했다.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은 “2008년부터 2011년 11월까지 원전비리에 연루돼 기소된 업체가 단 한 건도 없었다”며 “한수원 내부 제보로 검찰이 한수원 직원을 수사하지 않았다면 납품 비리가 영원히 은폐됐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최재천 의원은 한수원이 안전 확인 절차를 소홀히 했다는 의혹이 제기된 일본 업체들로부터 2004년 이후 700억원에 달하는 원전부품을 수입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민주당 최민희 의원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자연재해뿐 아니라) 원전 커넥션과 비리, 끊임없는 사고와 은폐, 국내외 경고 묵살, 원자력 확대 정책 등이 누적된 결과”라며 “우리나라 원자력이 일본 전철을 그대로 밟는 것 같아 국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고 날을 세웠다.

이 같은 의원들의 지적에 이은철 원안위원장은 “부족함을 인정한다”며 “최선을 다하고 있지만 인력과 예산에서 한계가 있다”고 답했다.

여야 의원들은 그러나 최근 신고리 3·4호기 부품 불합격 문제로 원전 준공이 늦어짐에 따라 밀양 송전탑 건설도 중단돼야 하는지를 두고는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다. 민주당 유승희 의원은 “더는 송전탑 강행의 명분과 실효성이 없다. 주민과 갈등만 일으키는 송전탑 공사를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면 새누리당 홍문종 의원은 “어차피 신고리 3·4호기는 완성될 것이고 전력을 나르기 위한 송전탑은 필요하다”면서 “원전에서 불량부품이 발생한 것을 송전탑 공사와 연관짓는 건 앞뒤가 맞지 않다”고 맞섰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