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주택 많은 지역 전세가 상승 주춤
입력 2013-10-17 18:22
임대주택이 대량 공급된 지역에서 전세가 상승이 둔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114는 2007년 이후 분기당 동(洞)별 임대주택 공급량이 1000가구 이상인 지역을 대상으로 공급 시점 전후의 전세가 변동률을 살펴본 결과 이처럼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2007년 이후 1000가구를 넘는 사례는 총 74회로 집계됐다. 경기도 김포, 오산, 파주, 동탄 등 수도권 2기 신도시와 서울 강동구, 마포구 등이 대표적이다. 임대주택이 실제 공급된 동이 소속된 자치구의 전세가 상승률은 공급 시점 당시 6.72%였으나 2분기 후에는 6.67%로 0.05% 포인트, 해당 동이 속한 시·도의 경우 공급 시점 때 전세가 상승률이 7.49%에서 6.67%로 0.82% 포인트 감소했다.
전세가를 직접 하락시킨 경우도 있다. 임대주택 2009가구가 공급된 수원 호매실동의 경우 인근 호매실 GS아파트 전용면적 59.78㎡ 전세가가 2011년 4분기 평균 1억1400만원에서 2012년 1분기에 1억1000만원으로 떨어졌다. 임대주택 1017가구가 공급된 안양 관양동도 부근 인덕원마을 삼성아파트 전용 84.93㎡ 전셋값이 2011년 4분기 평균 2억3950만원에서 2012년 1분기 2억2258만원으로 하락했다.
김현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