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원폭피해자 20%에서 자녀의 유전성 질환 발견
입력 2013-10-17 15:34
[쿠키 사회] 국내 원폭 피해자 5명 중 1명은 자녀가 선천성 기형 또는 유전성 질환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폭 피해자 2세를 위한 쉼터인 합천평화의 집과 원폭피해자 및 자녀를 위한 특별법 추진 연대회의 등은 17일 경남도가 경남발전연구원에 의뢰해 조사한 ‘경남도 원폭 피해자 실태조사 최종 보고서’를 공개했다.이번 실태조사는 국내 최초로 원폭피해자 2~3세까지 조사대상에 포함시켰다.
조사는 2011년 12월 제정된 경남도 원폭피해자 지원 조례에 의해 실시됐다. 대상은 지난 3∼6월 경남에 거주하는 원폭 피해자 1·2·3세 1125명이다.
조사 결과 원폭 피해자 800명(무응답자 325명 포함) 가운데 161명( 20.2%)이 자녀에게 선천성 기형 또는 유전성 질환이 있다고 답했다.
피해자 1세는 자녀 23.4%가 기형 또는 유전질환이 있다고 밝혔으며, 2세는 13.9%, 3세는 5.9%가 ‘그렇다’고 응답했다.
선천성 기형 및 질병을 앓고있는 자녀 수는 212명(복수응답)으로 뇌병변, 소아마비 등 장애가 24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관절·척추 질환 22명, 기관지·폐질환 20명, 갑상선 16명, 정신질환 10명, 선천적 기형 8명 등 순이다.
원폭 피해자 가운데 장애인 등록증을 소지한 사람의 비율도 12.8%(1세 16.4%, 2세 9.1%, 3세 3.3%)로 조사됐다. 이는 2010년 전국 장애인 등록율 5%와 비교 하면 배 이상 높은 수치다. 원폭피해자 우선 지원 사항에 대해서는 ‘건강검진 및 의료비 지원 확대’가 88.7%로 가장 높았고, 정부 차원의 특수검진 실시(45.5%)가 뒤를 이었다.
석혜진 합천평화의 집 운영위원장은 “원폭 피해자의 장애 발현 위험이 일반인보다 높을 수 있다는 것으로 증명한 것”이라며 “원폭 피해자 2~3세는 적극적인 조사참여와 사회적 노출을 꺼리는 만큼 실제 피해자들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별법 추진 연대회의의 전은옥 사무국장은 “현재 국회에 원폭 피해자의 실태조사와 지원을 위한 4개의 관련 법안이 제출돼 있지만 처리가 불투명하다”며 “정부는 조속히 특별법을 제정해 피해자에 대한 조사와 대책 수립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창원=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영재 기자 yj311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