親盧 측 “대화록 최종본 함께 확인하자”-檢 “수사는 검찰 몫”

입력 2013-10-17 05:29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 의혹 수사가 막바지에 이르면서 검찰과 참여정부 인사들 간 수싸움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검찰은 참여정부 측에 수사 정보가 새어나가지 않도록 철저히 ‘가림막 수사’를 벌이고 있고, 참여정부 측은 “검찰의 진실 규명 의지가 없다”고 아우성이다.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광수)는 지난 5일 조명균 전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을 비공개 소환한 것을 시작으로 임상경 전 기록관리비서관,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 김경수 전 대통령연설기획비서관 등을 연이어 조사했다.

검찰은 이들을 상대로 조사를 하면서 검찰이 어느 수준까지 진상을 파악하고 있고, 확보한 증거들은 무엇인지 내보이지 않고 있다. 참여정부 측이 종전 입장을 바꿔 조사에 응하고 있지만, 내심으로 검찰이 쥐고 있는 카드를 파악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일종의 탐색전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는 뜻이다. 검찰은 수사 정보가 노출되면 참여정부 측이 대응 논리를 만들어 외부에서 수사 흔들기를 꾀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때문에 신문 과정에서 검사와 피조사자 간 실랑이도 벌어졌던 것으로 전해졌다. 한 검찰 간부는 16일 “일부 조사 대상자들이 아예 수사 기록을 보겠다는 식으로 나온다”며 “저쪽은 ‘함께 확인하자’고 하는데 수사는 검찰 몫”이라고 말했다.

검찰의 이 같은 전략에는 ‘증거 조사는 끝났고 사람 조사에서 나올 것은 별로 없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읽힌다. 검찰이 여러 차례 “진술이 아니라 과학적 증거로 규명하겠다”고 공언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참여정부 측은 답답해하는 기색이 역력하다. 김경수 전 비서관은 지난 15일 검찰에 출석하며 “검찰이 자료를 꽁꽁 숨겨놓고 자기들에게 필요한 내용만 조사하고 있다”고 불만을 표했다. 이날 새벽 귀가할 때는 “(대화록) 초본이나 최종본을 같이 확인하는 등의 조사가 이뤄지지 않아 유감”이라고 했다. 검찰은 현재의 ‘연막 전술’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지호일 기자 blue5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