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판매 검사 全금융권 확대

입력 2013-10-16 18:02

금융당국이 서울 양재동 복합물류개발 사업인 ‘파이시티’ 투자자를 모을 때에도 불완전판매가 만연했다는 신고를 접수하고 특별검사에 나섰다. 동양그룹 사태를 계기로 시작된 불완전판매 실태 점검이 금융권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는 것이다. 당국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동양증권에서 10조원에 달하는 돈이 빠져나가는 등 투자자들의 불안감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시민단체 참여연대의 신고로 지난 7일부터 우리은행의 ‘파이시티’ 신탁상품 판매를 특별검사 중이라고 16일 밝혔다. 우리은행이 2007년 이 사업에 투자하는 ‘하나UBS 펀드’를 대규모로 판매하면서 위험성을 숨겼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우리은행을 통해 파이시티에 투자한 개인 투자자는 1400여명, 투자액은 1900억원 규모로 추정된다. 이 펀드에 투자한 이들은 2011년 파이시티가 회생절차에 들어가며 많게는 수억원대의 손실을 입었다.

참여연대는 “대부분 고령자인 투자자들은 ‘수익률은 높고 원금 손실 가능성은 없는 안전한 상품’이라는 우리은행의 설명만 믿었다”며 “상품가입 통장의 표지에는 ‘저축성 통장’이라고 쓰여 있는데, 안쪽에는 ‘특정금전신탁’이라고 쓰인 통장도 확인됐다”고 강조했다.

지난 15일 동양그룹 회사채·기업어음(CP) 판매에 대한 국민검사청구를 전격 수용한 금감원은 금융권 전반에서 일고 있는 불완전판매 의혹에 적극 대처한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금감원은 이날 동양증권에 회사채·CP 피해자의 요청이 있으면 투자계약 당시에 만든 녹음 파일을 제공하도록 지시했다. 투자자들은 불완전판매를 증명하기 위해 동양증권에 녹취 자료를 요구했지만, 동양증권은 제공해야 할 의무가 없다며 거부했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우리은행에 대해서도 기한을 두지 않고 점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