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우 前 행정관 소환조사… 檢, 대화록 폐기 의혹 관련
입력 2013-10-14 18:22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폐기 의혹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광수)가 14일 이창우 전 청와대 제1부속실 수석행정관을 소환조사했다.
검찰은 이 전 행정관을 상대로 대화록을 대통령기록물로 분류했는지, 이를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으로 이관했는지 등을 캐물었다. 이 전 행정관은 참여정부 당시 회의록 관리·이관 작업을 직접 담당했던 실무자였다.
이 전 행정관은 오후 1시55분쯤 서울중앙지검 청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노무현 전 대통령과 참여정부 관계자들은 역사를 기록함에 있어 한 점 부끄럼 없이 당당하다”고 말했다. 이 전 행정관은 “제1부속실에서 대화록 등 대통령 보고서에 대한 1차적 기록 분류를 진행한 뒤 문서 생산부서(안보정책비서관실)에 돌려보냈다”며 “청와대 문서관리시스템 이지원(e-知園)에는 삭제 기능이 없어 안보정책비서관실이 대화록을 삭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화록 미(未)이관 경위에 대해서는 “우리도 확인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번 주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 김경수 전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 등 대화록 생성·이관 과정에 주도적으로 개입한 참여정부 인사들을 소환할 방침이다. 검찰 관계자는 “(마지막으로 남은) 봉하 이지원 분석은 80∼90% 끝났다”며 “수사 결과 발표를 보면 참여정부 측도 수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