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는 왜 공공기관장 인사에 올인하나 “기다리다 지쳤다” 대선功臣 불만 달래기

입력 2013-10-14 18:16

새누리당이 청와대를 향해 공공기관장 인선에 속도를 내라고 재촉하는 이유는 대선 공신(功臣)들의 인사 불만이 위험 수위에 도달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일부 인사들의 현 정부에 대한 배신감을 방치할 경우 여권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새누리당 유기준 최고위원은 1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 주요 인사는 국정철학을 이해하고, 대선에서 힘을 합쳐 집권을 위해 함께 노력한 분으로 임명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이어 “새 정부가 출범하고 8개월이 지났으나 아직도 공공기관장 인선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면서 “국감이 시작되는데 감사원장, 보건복지부 장관, 검찰총장 등이 공석 상태”라고 지적했다.

유 최고위원은 “인사를 서둘러 달라는 요청을 낙하산 인사를 압박하는 것처럼 매도하니 안타깝다”면서 “전문성을 갖춘 분이라면 낙하산 인사가 아니라 인재를 적재적소에 등용하는 것이며 국정철학을 인정하지 않는 분을 정책 동반자로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무성 의원, 정우택 최고위원에 이어 유 최고위원까지 지난 대선에 기여한 인물의 인사 배려를 강조하고 나선 것이다.

여당이 공공기관장 인사에 목을 매는 표면적인 이유는 공공기관 정상화다. 현재 한국도로공사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마사회 건강보험심사공단 등 30여개 공공기관의 장이 공석 상태다. 수장이 없다 보니 신규 사업 추진 등 중요한 결정은 엄두도 내지 못하는 상황이다. 공공기관 내부 인사도 올 스톱된 상태다.

그러나 속내는 조금 다르다. 민주당이 공공기관장 인사를 대선 전리품이라고 비판해도 속도를 낼 수밖에 없는 다른 사정이 있는 것이다.

대선 당시 자기 돈을 써가며 고생했으나 아직도 자리를 못 잡은 이들은 여권에 큰 부담이다. 특히 인사에 불만을 품은 일부 인사가 대선 과정에서 있었던 은밀한 일들을 공개할 경우 여권은 치명상을 입을 수도 있다.

자기 사람 챙기기 성격도 배제할 수 없다. 대선 공신 배려라는 명분을 앞세우지만 일부 인사들은 ‘정치적 패밀리’를 배려하기 위해 공공기관 인선을 독촉한다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