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을 넘어 미래한국으로] “문화 지원은 시혜 아닌 정부의 핵심 과제”

입력 2013-10-13 18:19 수정 2013-10-13 22:59


귄터 콜로트치에 베를린 주정부 문화담당 대변인

귄터 콜로트치에(사진) 베를린주 문화담당 대변인은 지난달 10일 현지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문화는 정부가 그 생산 과정에 책임을 져야 하는 공공재나 마찬가지”라며 “그래서 문화예술 지원은 경제적 관점에서의 시혜가 아니라 민주정부가 해야 할 핵심 과제라는 게 우리의 정책철학”이라고 말했다. 인터뷰는 시내 브루덴슈트라세에 있는 주정부 문화부 청사에서 이뤄졌다.



그는 “또 예술 부문에 지원되는 정부 기금배분은 연속성, 다양성, 질적 수준을 담보하려고 애쓴다”고 강조했다. 그는 “베를린이 전 세계 예술가를 흡인하는 도시로서의 명성을 갖는 것은 문예기관에 대한 지원, 각종 지원이나 훈련 프로그램을 받은 예술가들의 힘에서 나오는 게 아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는 또 베를린주 정부의 경제를 살려주는 선순환이 되어 돌아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외국인 가리지 않고 예술 지원이 이뤄지는 데 대해서는 “베를린에는 190개국에서 온 사람들이 섞여 산다. 이런 문화적 다양성이야말로 베를린의 문화를 풍요롭게 하는 자산”이라며 “국적의 다양성 때문에 모두 함께 융합되는 것도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예술가, 문화기관 등 예술 생산자뿐 아니라 예술 소비자에 대한 지원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서는 “모든 시민들이 평등하게 문화서비스에 접근하도록 해야 한다. 문화·예술적 능력은 어릴 때부터 얼마나 즐겼느냐에 달렸기 때문”이라고 했다. 이어 “교육에 있어 기회균등이 이뤄져야 하는 것처럼 예술 향유에서도 같은 원칙이 적용돼야 한다. 문화 향유도 교육의 하나”라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학생이나 실직자, 저소득층까지도 저렴한 비용으로 오페라, 오케스트라 등 고급 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조치알힐페(Sozialhilfe·사회적 구제)라는 저소득층 및 실직자 지원 제도에 등록한 사람들이 베를리너패스를 신청하면 ‘3유로 문화티켓’을 주는 게 예다. 정부 지원을 받는 박물관이나 미술관도 18세 이하 어린이 및 청소년은 입장료가 무료다.



독일에서는 문화정책을 연방정부가 아닌 지방자치단체에서 관장한다. 나치 시절 공보장관 파울 요제프 괴벨스가 문화를 나치의 선전에 동원한 어두운 기억 때문에 1949년 서독 정부 설립 시 문화부가 배제되었기 때문이다. 1997년 슈뢰더 정부가 들어서면서 연방 총리실에 문화미디어 정무장관이 신설됐지만 각 주의 문화정책을 통합하고 조정하는 게 주된 역할이다. 중앙집권적 문화정책을 지양하고 각 주가 자치적 문화정책을 시행하는 것이 독일의 특징이다.



베를린=손영옥 문화생활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