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 백지화… 서울시, 6년만에 개발구역 지정 해제

입력 2013-10-10 22:57

‘단군 이래 최대 개발사업’으로 불리던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이 마침내 백지화됐다.

서울시는 토지소유 요건 미달로 자격이 상실된 용산 국제업무지구 사업시행자 지정을 10일 취소하고 도시개발구역 지정 해제도 고시했다고 밝혔다.

사업시행자 지정 취소는 지난 3월 시행자 드림허브의 디폴트(채무불이행) 발생 이후 예견된 것이다. 최대주주인 코레일은 사업 해제를 결정, 지난달 사업지인 철도정비창 부지 회수를 위한 토지대금을 모두 반환하고 최근 등기이전 절차를 마쳤다. 이에 따라 드림허브는 시행자 자격이 자동 상실됐다. 시는 도시개발구역 지정 해제와 관련해서는 “단기간 사업재개가 불가능한 상황에서 부동산 거래에 숨통을 틔워 주민 피해를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2007년 8월 사업계획 발표 이후 6년째 표류하던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마침표를 찍게 됐다. 사업비 31조원을 들여 2016년 말까지 국제업무 기능을 갖춘 서울 부도심이자 한국을 대표하는 명품 수변도시로 조성하겠다던 프로젝트가 사라진 셈이다.

다만 시는 서울 서부이촌동 일대 노후 주거지를 중심으로 주민들과 함께 지역 재생사업을 벌인다는 방침이다. 도시관리계획 가이드라인을 세워 개발사업 장기화 및 무산 과정에서 더 열악해진 이 지역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기반을 마련키로 했다. 이와 관련해 시는 사업 초기에 지정한 이주대책기준일 해제도 공고했다.

이제원 시 도시계획국장은 “사업구역 해제를 기점으로 서부이촌동 주민 갈등 봉합을 통해 공동체를 회복하고 지역 재생을 추진하는 데 공공의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정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