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탈북민 채용 4∼5배로 늘린다

입력 2013-10-10 22:57


서울시가 탈북민 정착 및 자활을 돕기 위해 본청 등 공공기관의 탈북민 채용을 확대키로 했다. 건강관리 등 복지서비스도 강화된다.

시는 전국 지자체 중 처음으로 이 같은 내용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종합대책’을 마련, 경제·사회·문화적으로 적극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10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서울 거주 탈북민은 6396명으로, 2007년(4029명)에 비해 59%나 늘었다. 특히 한창 일을 할 시기인 20∼40대가 70%에 달한다. 하지만 경제활동 참가율은 전국 평균(54.1%)에 못미치는 48% 수준이다.

이에 따라 시는 공공인력 채용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현재 7명인 탈북민 공무원을 2015년까지 20명으로, 투자출연기관 직원을 11명에서 64명으로 약 5배 늘리기로 했다. 지하상가나 가로판매대 배정 시 탈북민 중 장애인·한부모 가정이나 55세 이상 주민 등에게 우선권을 부여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탈북민을 채용한 민간기업이나 탈북민 사회적기업에게는 시가 물품 우선구매 인센티브를 제공키로 했다.

또한 거주지를 서울로 배정받은 탈북민에게는 해당 동 주민센터에서 환영카드 및 화분을 보내고, 전입 민원도 원스톱으로 처리토록 했다. 보건소에서는 방문 의료상담 등을 통해 건강을 관리해준다. 서울의료원 강남분원에 마련된 첫 탈북민 종합지원센터 ‘하나플라자’에서는 내년 1월부터 취업 상담 등 복지서비스를 제공한다.

전입 탈북민에 대한 지원 물품도 확대된다. 시는 하나원 수료 후 제공되는 기존 생필품 외에 냉장고, 의류상품권 등 2억원 상당의 물품을 기업·민간단체와 업무협약을 통해 이달부터 추가 지원키로 했다. 시 산하기관과 탈북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은 청소년을 위한 동반자 프로그램, 성인 탈북민을 위한 평생학습 강좌 등도 운영한다. 아울러 내년부터는 연간 40명의 민간 ‘화합 코디네이터’를 양성해 탈북민과의 화합 프로그램 개발 등도 추진키로 했다. 류경기 시 행정국장은 “우리 이웃이며 시민인 탈북민이 조기 정착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하고 배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정욱 기자 jw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