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 공기업 ‘빚 줄이기’ 나선다… 해외자원개발용 M&A 자제키로
입력 2013-10-10 22:34
정부가 무리한 해외자원개발로 빚더미에 앉은 한국석유공사·가스공사·광물자원공사 등에 관한 내실화 방안을 내놨다. 부채를 글로벌 기업 수준으로 관리하고, 자원개발은 인수·합병(M&A)보다 탐사개발 위주로 실시하도록 한다는 게 골자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공기업 재무구조 개선 태스크포스(TF)’의 지난 5개월간 논의결과를 토대로 만든 ‘에너지공기업 해외자원개발 내실화 방안’을 10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각 에너지 기업은 장기적으로 부채비율을 130∼250%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 지난해 부채비율이 438%인 가스공사는 2017년 274%, 장기적으로 250%라는 목표가 제시됐다. 석유공사와 광물공사도 각각 168%, 177%인 부채비율을 장기적으로 130%까지 끌어내려야 한다.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탐사와 개발 위주로 재편하기로 했다. 지난 정부에서 에너지공기업들은 시간이 걸리는 탐사·개발보다 손쉬운 M&A를 택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사업성이 불투명하고 부실한 자산을 인수한 사례가 상당수여서 결과적으로 손실이 됐다.
앞으로 석유공사는 탐사 사업 비중을 2008∼2012년 평균 10%에서 2013∼2017년 평균 29%로 확대해야 한다. 핵심이 아닌 사업은 구조조정해야 한다. 가스공사는 액화천연가스(LNG) 도입에 연관성이 큰 탐사·개발 사업 투자에 주력할 것이 권고됐다. 광물자원공사는 민간투자가 부진한 동과 희소금속 탐사·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산업부는 “정부의 제안이 각 공기업에서 충실히 이행될 수 있도록 부채비율 개선 결과 등을 공기업 경영평가에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권기석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