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새누리당에 ‘공격 빌미’ 줄 수도”…봉하 이지원 삭제 기록에 ‘인사파일’ 대거 포함

입력 2013-10-11 05:08
검찰이 ‘봉하 이지원’(e-知園)에서 삭제 흔적을 발견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외 100여건의 문서 중에는 참여정부의 고위공직자 및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검증 파일이 대거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야권 고위 관계자는 10일 국민일보 기자와 만나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장관 한 명을 임명하기 위해 후보 100여명을 검증할 정도로 꼼꼼했던 것으로 안다”며 “이지원 자료에 당시 청와대에서 장관 후보자와 친인척 등 주변인물들에 대해 조사한 내용이 포함됐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검찰이 삭제된 자료를 복구하는 과정에서 인사검증 파일이 나온다면 새누리당에 공격의 빌미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역대 정권들이 당연히 가지고 있는 인사검증 파일이지만 검찰과 새누리당이 민간인 사찰 등 정쟁용으로 악용할 수 있다는 의구심이 깔려 있다.

인사검증 파일의 특성상 개인 사생활 등 민감한 내용이 들어있을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참여정부의 고위공직자 후보들인 만큼 현재 민주당 등 야권 관계자들이 대거 포함돼 있을 수 있다.

2008년 이명박정부 초기 기록물 유출 논란이 벌어졌을 당시 노무현·이명박 정권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인사파일’ 실종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명박정부 청와대 관계자 측에선 노무현정부의 인사파일을 비롯해 북핵문서 등 국정운영의 필수자료가 유출됐고, 정권 인수인계 과정에서 이들 자료를 인수 받지 못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당시 청와대 관계자는 “노무현 청와대가 보유했던 인사 파일에 제대로 접근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노 전 대통령 측은 “인사파일 등은 이지원 시스템과 별도로 운영됐기 때문에 가져오지 않았다”고 반박했었다.

엄기영 김아진 기자 eo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