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야스쿠니에 공물 봉납” 10월 17일 추계 예대제 참배 보류
입력 2013-10-10 17:52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오는 17일부터 시작되는 야스쿠니 신사 추계 예대제에 직접 참배하지 않는 대신 공물을 봉납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과 한국의 반발을 의식한 것이다. 하지만 일본은 ‘무기수출 3원칙’을 허물기로 하는 등 우경화 작업을 지속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10일 아베 총리가 17∼20일로 예정된 야스쿠니 추계 예대제에 참배를 보류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신문은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에 참배하겠다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지만 주변국을 고려하고 있다”며 “화분 형태의 ‘마사카키’ 공물을 봉납하는 방향으로 처리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베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보류하는 것은 미국의 우려와 함께 한국, 중국과의 정상회담 추진에도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앞서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9일 정례 브리핑에서 “만일 일본이 야스쿠니 신사 문제와 관련해 새로운 도발을 감행한다면 응당 심각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베 총리는 올 4월 춘계 예대제 때도 직접 참배 대신 ‘내각 총리대신’ 명의로 마사카키 공물을 봉납했다. 지난 8월 15일 패전일에는 ‘자민당 총재 아베 신조’ 명의로 공물료를 냈다.
이와 달리 신도 요시타카 총무상과 후루야 게이지 납치문제담당상 등은 추계 예대제에 참배할 것을 검토 중이라고 아사히신문이 전했다.
한편 일본은 분쟁 당사국 등에 무기 수출을 금지해온 정책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행보를 가속화하고 있다. 아베 총리의 사설 자문기구인 ‘안전보장과 방위력에 관한 간담회’는 9일 회의를 갖고 이달 중 무기수출 3원칙을 원점에서 재검토해 반영키로 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전했다.
무기수출 3원칙은 1967년 사토 에이사쿠(佐藤榮作) 당시 총리가 표명한 것으로 공산권 국가, 유엔이 금지한 국가, 국제분쟁 당사국이나 분쟁 우려가 있는 국가에 무기 수출을 금한다는 내용이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