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댓글의혹·‘대화록’ 증인채택도 진통
입력 2013-10-09 18:27
여야는 재계 쪽 인사 외에도 국정감사 증인 및 참고인 채택을 둘러싸고 상임위원회별로 치열한 기싸움을 벌여 왔다. 법제사법위원회·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등은 아직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증인 채택을 마친 상임위 여야 의원들은 ‘입맛’에 맞는 증인을 상대로 현안 주도권을 잡으려 벼르고 있다.
법사위는 9일까지도 증인 채택을 놓고 진통을 겪었다. 야당 의원들은 국가정보원의 댓글 의혹 사건과 황교안 법무부 장관의 ‘삼성 떡값’ 수수 의혹과 관련된 증인을 요구했으나, 새누리당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에 초점을 맞춰 참여정부 인사인 민주당 문재인 의원의 출석을 신청하면서 팽팽하게 맞섰다. 4대강 사업 관련 증인으로는 정종환 전 국토해양부 장관 등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교문위는 지난 8일 전체회의를 열어 역사교과서 왜곡논란, 영훈국제중학교 입학비리 등에 관한 증인 채택을 놓고 공방을 벌이다 파행됐다. 민주당은 교학사 집필진만을 출석시키자는 데 반해 새누리당은 나머지 7종 교과서 쪽도 부르자고 주장했다. 또 민주당은 영훈국제중 입시부정 의혹에 연루된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소환을 원했으나, 새누리당은 “수사·재판 중”이라며 반대했다.
정국의 ‘핫이슈’로 증인 채택이 완료된 상임위에서는 여야의 격돌이 예상된다. 보건복지위는 기초연금 공약 후퇴 논란과 관련해 김성숙 국민연금 연구원장, 김상균 국민행복연금위원장, 김경자 전 국민행복연금위원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안전행정위원회는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증인으로 김기용 전 경찰청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등을 부르는 데 합의했다.
김아진 기자 ahjin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