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수 “대화록 초본 목록만 지웠다”
입력 2013-10-09 18:12
참여정부의 김경수 전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이 9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초본은 문서 자체를 없앤 게 아니라 표제부(목록)만 지운 것”이라고 주장했다. 봉하마을로 유출됐던 청와대 기록물관리 시스템 이지원(e-知園)에서 삭제된 대화록을 찾아 복구했다는 검찰 주장에 대한 반박이다.
김 전 비서관은 서울고검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청와대 이지원에 담겨 있던 대화록을 국가기록원으로 이관하는 과정에서 초본은 중복문서로 판단해 이관 대상에서 제외했다”며 “이지원에는 삭제기능이 없어 문서관리카드에 있는 표제부만 삭제했다”고 말했다.
청와대 기록물 문서관리카드는 문서의 개요 등을 나타내는 표제부와 보고라인을 적은 경로부, 기록물 분류 유형 등을 담은 관리속성부의 3가지 파트로 구성돼 있다. 이 중 표제부만 지우면 자동적으로 이관대상 기록물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문서 내용은 청와대 이지원에 그대로 남아 있다는 게 김 전 비서관의 설명이다. 봉하 이지원은 청와대 이지원을 통째로 복사한 것인 만큼 검찰이 찾은 이른바 ‘삭제 대화록’은 목록만 지워진 형태라는 것이다.
김 전 비서관은 또 “백종천 전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이 2007년 10월 9일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초본을 이지원에 등록해 노무현 전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말했다. 대화록 초본은 정상회담 직후 조명균 전 안보정책비서관이 넘긴 녹취파일을 토대로 국가정보원이 생산한 문서다. 김 전 비서관은 “대화록 초본은 녹음이 안 된 부분이 있었고 배석자와 발언 내용이 바뀌는 등 오류가 있었다”며 “조 전 비서관이 2개월간 수정 작업을 거쳐 그해 12월 최종본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김 전 비서관은 “대화록 최종본 역시 이지원에 등록됐고 노 전 대통령이 결재한 만큼 당연히 국가기록원에 이관됐을 것으로 생각했다”며 “미(未)이관 경위는 검찰이 수사를 통해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검찰 관계자는 “목록만 지워진 게 아니라 통째로 삭제된 문서를 어렵게 복구했다”며 “김 전 비서관이 대화록 생산부터 수정, 삭제 경위를 제대로 모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