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새 의장에 옐런 지명] 옐런의 Fed, 정책방향 어디로… 경기회복에 높은 비중 금융·통화 現기조 지속

입력 2013-10-09 18:04 수정 2013-10-09 22:25

재닛 옐런 부의장은 경기회복을 위해 연준이 시행 중인 양적완화(QE)로 불리는 연준의 채권 매입을 통한 유동성 공급 정책을 벤 버냉키 의장과 함께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측면에서는 양적완화 지속에 버냉키 의장보다 더욱 적극적인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에 따라 옐런이 연준 의장의 바통을 이어받더라도 현 금융·통화정책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옐런의 미 연준 의장 지명은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이 2주일째 접어든 가운데 나왔다. 특히 정부 부채한도 상향 조정이 실패할 경우 미 정부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대한 우려가 금융시장에서 확산되는 시점이다.

보스턴 소재 루미스세일리스의 댄 퍼스 투자전략가는 8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이런 상황에서 옐런이 지명된 데 대해 신에게 감사한다. 이 소식은 시장의 불확실성 하나를 확실히 줄여놨다”고 말했다. 시장 참여자들이 느끼는 안도는 이날 밤 미 주식선물지수가 오르고 달러화가 유로에 대해 약세로 돌아선 데서도 알 수 있다.

옐런의 최대 과제는 양적완화 축소 전략을 언제, 어떻게 시행하느냐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전문가들은 옐런은 현행 월 850억 달러인 국채 및 모기지(주택담보대출) 채권 매입 규모를 점차 줄여나가는 이른바 ‘테이퍼링(tapering·자산매입 축소)’을 버냉키 의장이 구상하는 대로 내년 중순까지 단계적으로 시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버냉키 의장은 앞서 지난 6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끝나고 나서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 예상대로라면 연내 자산 매입 규모 축소를 검토하고 내년 중반쯤 이 프로그램을 종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의회의 2014회계연도(10월 1일∼내년 9월 30일) 예산안 및 국가채무 상한 재조정 협상이 잘 마무리되면 연준은 이달 말 또는 12월 중순 열리는 FOMC 회의에서 첫 양적완화 축소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버냉키 의장의 임기가 내년 1월까지이고 그 바통을 옐런이 이어받는 점을 고려하면 각종 경기 부양 정책을 썼던 버냉키 의장이 양적완화 정책을 끝내기 시작하고 그의 오랜 동료이자 지지자인 후임 옐런이 이를 마무리하게 되는 셈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버냉키 의장 후임으로 ‘온건파’인 옐런을 지명하기로 한 것은 모험보다는 안전함을 택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최근 미국의 각종 경기 또는 고용지표가 연준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데다 당분간 정치권발 불확실성이 이어질 수밖에 없는 현 상황에서 유동성의 지나친 확대나 인플레이션 등을 우려하는 ‘매파’보다는 경기회복을 우선시하는 ‘비둘기파’의 중용이 더 시의적절하다는 시장의 분석을 오바마 대통령이 수용했다는 것이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