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朴-시진핑 ‘아베 과거사 인식’ 우려… 시 주석, 정상회담서 日 집단적 자위권 등 입장 전달

입력 2013-10-09 21:36 수정 2013-10-09 22:12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7일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잘못된 과거사 인식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은 것으로 9일 알려졌다.

두 정상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기간 중 인도네시아 발리 아요디아 리조트호텔에서 열린 45분간의 회담에서 짧은 시간이었지만 아베 총리와 양국의 대일(對日) 기조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아베 총리의 과거사 부정과 집단적 자위권 발동을 위한 헌법 재해석 움직임 등에 대해 우려스럽다는 입장을 박 대통령에게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정상 모두 APEC 기간 아베 총리와 별도 정상회담을 갖지 않았고, 매년 아세안+3 정상회의 때마다 이뤄졌던 한·중·일 3국 정상회의를 이번에는 하지 않기로 한 것도 이런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시 주석은 지난달 초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기간 아베 총리를 짧게 만난 자리에서 “일본은 댜오위다오(釣魚島)와 역사 등의 문제를 정확히 처리해 갈등을 원만히 해결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충고한 바 있다.

당초 우리 정부 고위 관계자는 한·중 정상회담 직후 가진 브리핑에서 ‘일본에 관해서도 논의됐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없었다”고 답한 바 있다. 양국 정상의 아베 총리 언급이 언론에 알려질 경우 일본 측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중 정상의 아베 총리에 대한 냉담한 태도는 10일 브루나이 수도 반다르스리브가완에서 열리는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3’ 정상회의에서도 재현될 것으로 관측된다. 아세안 회원국 10개국과 한·중·일 정상이 동시에 참가하는 회의에서 박 대통령과 리커창(李克强) 중국 총리는 APEC 기간 때와 마찬가지로 아베 총리와 의례적인 인사 외에 별다른 대화를 나누지 않을 전망이다. 리 총리는 시 주석 대신 이번 회의에 참석한다.

반다르스리브가완(브루나이)=신창호 기자 proco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