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3년내 무력통일 수시로 공언하는 北 김정은
입력 2013-10-09 17:41
기습도발에 대비해 만반의 안보태세 점검해야
북한 김정은이 3년 내 한반도를 무력통일하겠다는 말을 수시 공언하며 장거리 미사일은 물론 영변 원자로 시설까지 재가동했다고 한다. 군사분계선에서 불과 수십㎞ 떨어진 수도 서울 등 수도권, 백령도 등 서해도서를 겨냥해 가공할 화력의 방사포를 대폭 증강했다니 지금이야말로 최고 안보위기 상황이 아닐 수 없다.
남재준 국가정보원장은 지난 8일 국회 정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 같은 북한의 최근 동향을 보고했다고 여야 의원들이 전했다. 특히 북한이 지난 8월부터 5㎾급 영변 원자로 시설을 이미 재가동하고, 비슷한 시기에 평북 동창리 기지에서 장거리 미사일 엔진연소실험까지 실시했다는 사실에 경악을 금할 수 없다.
북한 스스로 남한 전역은 물론 미국 본토까지 사정권에 넣겠다고 으름장을 늘어놓은 그들의 공언이 결코 헛된 말이 아님을 여실히 증명해주는 것이다. 게다가 북한은 해군 전력을 대폭 강화하고 서울과 수도권, 백령도를 표적으로 화력이 이전보다 훨씬 더 강화된 240㎜, 122㎜ 방사포까지 집중 배치했다고 한다. 지난 2010년 연평도 포격사건 악몽이 가시기도 전에 북한이 훨씬 강화된 화력으로 우리를 넘보고 있는 것이다.
김정은이 북한의 권력 1인자로 오른 지 2년도 채 되지 않는다. 짧은 기간에 권력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한 체제 불안정성에다 극심한 식량난에 주민들은 지쳐 있다. 그러니 핵과 미사일, 방사포를 들고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속셈일 것이다. 갓 서른의 김정은이 명령만 내린다면 북한군은 언제라도 도발을 다시 감행할 수 있다.
북한의 대남 위협이 어제오늘 일은 아니다. 그럼에도 국정원장의 이번 보고가 과거 어느 때보다 섬뜩하게 와 닿는 것은 김정은의 일관된 위협 언동에 반해 우리의 대내외 안보 여건이 열악하기 때문이다. 미국은 연방정부 잠정 폐쇄로 대북 정보수집 및 전력공백이 불가피해졌다. 국내는 해묵은 안보불감증이 여전하고 여야 대치 속에 NLL 공방, 군 수뇌부 교체 등 어수선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북한은 최근 개성공단 가동재개 등 태도변화를 보이는 듯하더니 뚜렷한 이유없이 이산가족 상봉을 무산시켜 버렸다. 남북교류 역시 외화벌이가 목적일 뿐 결국 ‘경제건설과 핵을 병진한다’는 김정은 노선에 변함이 없음을 말해준다. 새 정부 출범 직전부터 최고조의 대남 협박을 해온 북한은 이제 대통령 실명까지 거론하며 비난 수위를 높이고 있다.
국정원장의 이번 보고는 북한이 통미봉남 전략 아래 평화공세를 펴며 대남 무력 증강을 통한 무력통일 전략을 포기하지 않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안보에 여야가 따로 없고 ‘설마’하는 안이한 생각은 더 이상 있어선 안 될 것이다. 정부는 물론 국민 모두 안보비상에 만반의 준비를 해야 한다. 9일로 30주기를 맞은 아웅산 테러 사건의 교훈을 되새기며 철저한 대북 경계는 물론 북의 어떤 도발도 응징할 확고한 안보태세를 다시 다져나갈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