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史를 바꾼 한국교회史 20장면] NCCK와 목요기도회… 암울했던 독재시절 인권호소 가능했던 기도모임

입력 2013-10-09 17:09


민주화운동의 한 축을 맡았던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는 1924년 서울 새문안교회에서 선교사 중심의 ‘재한개신교선교부연합공의회’와 한국교회가 주체인 ‘조선예수교장감연합협의회’가 통합한 ‘조선예수교연합공의회(KNCC)’에 뿌리를 두고 있다.

차재명 목사가 초대 회장을 맡은 KNCC에는 조선예수교장로회, 조선미북감리회, 조선미남감리회, 미북·미남·호주·캐나다연합장로회, 미남감리회, 조선기독교청년회(YMCA) 국내외 교단과 기독단체 등이 참여했다. 이후 한국교회 측 인사 수가 선교사 수를 넘어서며 한국교회 연합 기구로 자리잡아갔지만 1937년 일제에 의해 해산되는 아픔을 겪었다.

NCCK는 해방 다음해인 1946년 10월 9일 ‘한국기독교연합회’라는 이름으로 재출범했다. 1948년에는 세계교회협의회(WCC) 암스테르담 총회에 한국 대표를 파송, 세계 교회 에큐메니컬운동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NCCK는 1970년 2월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로 명칭을 바꾸고 기구 성격도 기독교 기관 연합체에서 교단 간 협의체로 변경했다.

한국교회 민주화운동의 상징인 ‘목요기도회’는 1974년 남산 부활절 연합예배 사건과 민청학련 사건으로 구속된 이들을 위해 젊은 목회자들이 서울 연지동 한국기독교회관 소예배실에서 시작한 기도모임에서 시작됐다.

당시 명칭은 ‘구속된 자들과 함께 드리는 목요 정기 기도회’로 정치적 의도 없이 목회자 10∼15명의 순수한 기도모임으로 출발했다. 하지만 구속자 가족들이 참석하면서 정례화됐고, 곧 수백명이 참여하는 공식적인 인권 모임이 됐다.

목요기도회는 엄혹했던 독재시절 인권 문제와 관련해 공개적으로 기도하고 사회에 호소할 수 있는 유일한 곳이었던 동시에 구속자 가족과 목회자, 평신도, 비기독교인들이 한자리에 모인 연대와 결단의 장소이기도 했다. 당연히 정부의 탄압도 따라왔다. 교회는 물론 기독교회관에서도 대관을 거부해 구속자 가족의 집에서 기도회를 이어가기도 했다. 1976년 금요일로 시간이 변경된 기도회는 1990년대 민주화가 진척되며 자연스럽게 중단됐다.

한편 NCCK는 지난 7월 개최한 제3차 실행위원회에서 국정원 선거개입 의혹 사건과 양극화 등으로 한국사회가 위기를 맞았다는 공감대 속에 목요기도회를 부활시키기로 결의했다. 첫 기도회는 10일 오후 기독교회관 조에홀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최승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