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 퇴임 직전 기록물 ‘봉하 이전’ 회의 7차례 열었다
입력 2013-10-09 04:58
참여정부 청와대가 대통령기록물을 봉하마을로 이전하기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노무현 전 대통령 퇴임 직전 한 달간 7차례나 회의를 연 것으로 8일 파악됐다. 검찰은 참여정부 측이 체계적인 계획 아래 기록물을 분류·이관한 만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삭제 및 미(未)이관이 실무진의 단순 착오나 실수였을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참여정부는 노 전 대통령 퇴임 1년 전인 2007년 2월 ‘인계인수준비 TF’를 구성, 운영했다. TF는 ‘기록물 이관 및 청와대 업무 인계 준비’ 작업과 ‘노 전 대통령 퇴임 후 기록 활용을 위한 준비’ 작업을 주요 업무로 추진했다. 대통령기록물 사저 이전 업무는 2007년 5월 이미 TF 중점 사업으로 진행됐다. 참여정부 청와대 기록물관리 시스템 이지원(e-知園) 시스템을 봉하마을에 구축하는 작업도 TF를 통해 이뤄졌다.
TF는 특히 정권 이양 직전인 2008년 1월 5차례(14, 16, 21, 24, 28일), 2월 2차례(4, 13일) 회의를 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TF는 1월 회의에서 이관 대상 기록물 분류 등을 결정했고 회의 결과는 노 전 대통령에게 직접 보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사정 당국 관계자는 “TF 회의에서 전반적인 기록물 분류와 이관 방법 등을 논의한 건 맞지만 대화록의 직접 삭제 지시는 없었다”며 “대화록 삭제 지시는 다른 루트를 통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시 TF 단장은 노 전 대통령의 친구이자 ‘집사’로 알려진 정상문 전 총무비서관이 맡았다. 실무는 임상경 전 기록관리비서관, 문용욱 전 제1부속실장, 이호철 전 민정수석비서관, 김충환·민기영 전 업무혁신비서관과 산하 행정관들이 담당했다. 임 전 비서관은 2007년 12월 초대 대통령기록관장으로 취임한 이후에도 TF 회의에 계속 참석했다.
검찰은 청와대 비서실장 산하 업무혁신비서관실과 조명균 전 안보정책비서관 등이 사실상 대화록 삭제 및 미이관을 주도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박모 전 업무혁신행정관은 조 전 비서관 지시를 받고 대화록 초본을 삭제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그는 2008년 2월 14일 청와대 이지원 시스템을 셧다운한 뒤 이튿날 오전까지 노 전 대통령이 생산한 대통령기록물 76만여건을 봉하 이지원 시스템에 복사했다.
한편 검찰은 오는 10일 참여정부 시절 마지막 기록관리비서관을 지낸 김정호 영농법인 봉하마을 대표를 소환조사한다. 김 전 비서관은 대통령기록물의 대통령기록관 이관 작업을 지휘한 인물로 알려졌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