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들리는 BK21플러스] “연구역량 강화? 교수 인건비 부담 덜기용 불과!”

입력 2013-10-07 18:05 수정 2013-10-07 22:12


BK21플러스사업단으로 선정된 서울 소재 대학교의 석사과정생 A씨는 BK21 2단계 사업으로 지난해까지 사업단으로부터 인건비로 월 50만원을 받았다. 올해 BK21 2단계 사업이 종료되면서 관련 지원금을 못 받게 됐지만 A씨가 느끼는 변화는 미미하다. 다른 프로젝트를 통해 인건비를 계속 받았기 때문이다. A씨는 “BK21 사업이 교수님 입장에서는 인건비를 챙겨줘야 하는 부담이 없어지니 도움이 되겠지만 학생 입장에서는 그게 그거다”고 말했다.

국민일보가 인터뷰한 대학원생들은 BK21 사업에 대해 등록금 일부를 보전해주는 정책이거나 교수의 인건비 부담을 줄여주는 사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사업단별로 차이가 있지만 담당 교수가 실질적으로 대학원생에게 장학금을 주는 형태로 BK21 지원금이 나가게 된다. 이럴 경우 교수가 기존에 개별적으로 진행하는 다른 프로젝트를 재원으로 하는 대학원생 인건비와 중복된다. 교수 재량으로 둘 다 줄 수 있지만 대체로 인건비는 달라지지 않는다.

교수가 따낸 다른 프로젝트에서 인건비를 받든 정부에서 받든 대학원생 입장에서는 똑같은 구조다. 지방 국립대 석사과정생 B씨는 “인건비로 100만원을 받고 있었지만 BK21 사업이 시작된 뒤 사업단으로부터 장학금이 나왔지만 받는 돈은 똑같았다”고 말했다.

비싼 학비 일부를 충당하는 용도로 쓰이므로 학교에만 좋은 사업이라는 주장도 있었다. 수도권 대학의 BK21플러스사업단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C씨는 “BK21 지원금이 들어와도 모두 등록금으로 나가기 때문에 별도로 ‘과제’를 하지 않으면 안 된다”면서 “등록금 일부를 보전받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학교 당국이 학비를 올리면 정책효과는 반감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학비 일부를 국가가 지원하기 때문에 대학 입장에서는 대학원생 유치에는 도움이 되지만 실질적인 연구역량을 높이는 사업은 아니라는 것이다.

황인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