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비리’ 평균 1억원 수수… 45명이 46억원
입력 2013-10-06 18:30 수정 2013-10-06 22:13
원전 건설과 운영 과정에서 금품을 받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직원의 평균 수수 액수가 1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이채익 의원이 6일 한수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01년 이후 구속·불구속·약식 기소된 한수원 현직(수사 당시) 직원은 모두 58명이다.
이 가운데 순전히 금품수수 혐의로 기소된 직원은 45명이며, 이들이 받은 돈의 합계는 46억3600만원으로 집계됐다. 1인당 약 1억300만원을 받은 셈이다. 최근 수사기관 통계로 나온 중·하위직 공무원의 평균 수뢰액 1300만원의 7∼8배 수준이다.
금품수수 액수는 1심 이상 선고가 내려진 직원의 경우 선고 시 밝혀진 액수를 기준으로 했다. 최근 원전부품 시험성적서 위조 관련자는 현재 대부분 1심이 진행 중이어서 원전비리수사단의 기소 액수를 기준으로 계산했다.
금품수수 외에 용지보상금 등 거액 횡령 사건으로 인한 피해금액 34억여원과 제어케이블 시험성적서 위조로 인한 사기 피해금액 59억원을 더하면 전체 금품 관련 비리 총액은 139억여원으로 늘어난다. 1인당 평균 3억원이다.
이 의원은 “한수원이 2001년 한국전력에서 분사한 이후 검찰수사로 드러난 직원의 금품비리 금액은 실로 엄청난 수준”이라며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같은 상임위원회의 민주당 추미애 의원이 한수원에서 제출받은 ‘지난 10년(2004∼2013년)간 국내 원전사고 현황’에 따르면 총 181건의 원전사고가 발생했다. 기존 가동 원전에서 156건, 운영기간이 3년 이내인 신규 원전에서도 25건의 사고가 발생했다. 원인별로 살펴보면 운영 및 정비 미흡 등 인적실수가 88건(48%)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부품 제작 관련 40건, 설계 관련 문제 25건, 시공 관련 19건 등으로 집계됐다. 추 의원은 “사고 원인 중 인적실수가 포함된 운영·정비 관련 사고가 절반 가까이를 차지한다”며 “한수원의 전반적인 조직 문화에 근무태만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권기석 임성수 기자 key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