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거리는 한국 경제] 코넥스, 中企 ‘돈줄’ 기대했는데… 거래량·대금 곤두박질
입력 2013-10-06 18:17 수정 2013-10-06 22:35
중소·벤처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위해 도입된 창조경제의 동맥 ‘코넥스(KONEX)’가 8일로 출범 100일을 맞는다. 요란했던 출범과 달리 코넥스에서는 거래량과 거래 금액이 나날이 곤두박질치고 있다. 대통령의 경제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해 철저한 준비 없이 성급하게 개장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거래 반토막, 잠자는 시장=출범 4개월차에 접어든 코넥스는 극도의 부진에 시달리며 ‘잠자는 시장’이 돼 가고 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넥스가 개장한 지난 7월 4억3762만원 수준이던 일평균 거래대금은 지난달 2억2259만원으로 반토막 난 상태다. 같은 기간 일평균 거래량은 7만1030주에서 2만6878주로 62% 감소했다.
현재 24곳인 코넥스 상장기업은 의료기기 업체인 엘엔케이바이오를 제외하면 모두 시가총액이 400억원 미만이다. 지난 8월부터 단 1주도 거래되지 않은 종목도 있다. 지난 4일 거래가 형성된 기업은 24곳 중 정확히 절반인 12곳에 머물렀다. 사실상 식물 시장이 돼 버린 ‘프리보드’와 차별성이 없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상장기업들도 별다른 관심을 끌지 못하는 코넥스에 불만이 높다. 익명을 요구한 한 코넥스 상장기업 대표는 “거래 수수료만 발생할 뿐, 코넥스 시장 안에서는 기업 미래가치가 오히려 저평가되는 듯하다”고 토로했다. 향후 코스닥 시장으로의 진출을 모색하는 때가 오더라도 자산가치가 나쁘게 형성돼 있어 낮은 주가를 갖게 될 것이라는 불만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출범 이후 실효성 있는 추가지원이 없고, 예탁금 3억원 미만의 개인 투자자 참여가 제한된 점을 지적하고 있다. 코넥스 출범 이후 정홍원 국무총리가 개인의 예탁금 규제를 낮추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고 벤처캐피털이 코넥스에 참여하는 내용의 개정안도 발의됐지만 각종 대책은 국회에서 미뤄지기만 하고 있다. “제도적 뒷받침이 완전한 상태에서 개장을 했어야지, 장을 연 뒤에 지원책을 강구하는 건 순서가 잘못됐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당국 “평가 시기상조”=금융당국은 단순히 거래량과 거래금액을 통해 코넥스 시장의 성패를 예단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항변한다. 시장 성패를 판단하려면 최소한 2∼3년은 흘러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출범 전에 제기되던 우려보다는 코넥스의 초기 행보가 순조로운 편”이라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프리보드와 코넥스도 명확히 다르다고 주장한다. 코넥스는 프리보드와 달리 세제 혜택, 시장 감시기능, 경쟁매매 방식 등 정규시장으로서의 장점을 가졌다는 것이다. 동시에 진입과 공시규제 등 상장 유지부담은 완화해 중소기업 맞춤형 시장을 구축했다고 보고 있다.
금융당국은 자본시장에서 제기되는 개인 투자자 참여 필요성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코넥스는 고위험 고수익 성격의 시장”이라며 “투자의 전문성이 미흡한 개인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참여를 제한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경원 기자 neosar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