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키·뉴발란스 ‘TPP 찬반’ 정면충돌
입력 2013-10-06 18:21
마무리 협상에 들어간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을 두고 다국적 신발업체인 나이키와 뉴발란스가 정면충돌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TPP는 미국 주도로 12개국이 참여하고 있으며 관세 철폐는 물론 비관세 무역장벽 제거도 목표로 하고 있다. 존 케리 국무장관은 지난 5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열린 각료회의 참석 후 TPP 협상을 올해 말까지 마무리할 방침임을 강조했다.
나이키와 뉴발란스가 TPP를 주목하는 이유는 관세 때문이다. TPP가 체결되면 해당국에서 미국으로 신발을 수출할 때 10% 내외의 관세를 물지 않아도 된다. TPP 협상에 참여하는 베트남에 30만명 이상이 일하는 공장을 갖고 있는 나이키로서는 상당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다. 반대로 뉴발란스는 TPP에 참여하지 않는 중국과 인도네시아에 핵심 공장을 두고 있다. 비록 규모는 작지만 미 마인주와 매사추세츠주 등 본토에도 5개의 공장을 운영 중이라 TPP에 따른 관세 철폐는 경쟁력에 장애가 된다.
나이키는 높은 세율의 관세가 미국 소비자들의 이익을 오히려 해치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레그 로시터 대변인은 “왜 높은 관세가 미국 기업과 미국 소비자들에게 부과돼야 하느냐”고 강조했다.
반면 뉴발란스는 고율의 관세가 미국의 질 높은 일자리를 유지시켜줄 수 있는 마지막 방패라는 논리를 펴고 있다. 매트 르브레튼 대변인은 “베트남은 이미 세계 다른 어느 나라보다 신발 생산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관세 혜택이 필요 없다”면서 “오히려 미국에서 신발을 생산하고 있는 우리 같은 업체들이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관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나이키와 뉴발란스의 논쟁은 TPP와 관련한 이해관계의 충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WSJ는 전했다. 마이클 프로먼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우리는 국내 산업 보호와 성장동력 확보라는 목표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모든 이해관계자를 100% 만족시키는 것은 힘든 일”이라고 말했다.
맹경환 기자 khmae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