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국방부 “셧다운 해고직원 복귀 명령”

입력 2013-10-06 18:21

미국이 연방정부 셧다운(부분 업무정지) 와중에도 국방부만큼은 정상화하려 하고 있다. 알카에다 등 테러리스트 진압에 나서면서 안보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진 데 따른 조치로 보인다.

척 헤이글 미 국방장관은 5일(현지시간) 셧다운으로 무급휴가를 떠난 펜타곤 내 민간인 직원 약 40만명에 대해 다음 주 업무복귀 명령을 내렸다고 워싱턴포스트(WP) 등 주요 언론이 보도했다. 국방부는 1일부터 현역 복무 중인 군인들은 정상 근무하되 민간인 직원 80만명 가운데 약 절반은 일시 해고했었다.

업무복귀 지시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달 30일 서명한 ‘셧다운 기간 군인에 대한 정상 급여지급 법안’이 국방부의 민간인 직원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는 해석에 따른 것이다. 공화당은 이 법안으로 국방부 직원은 무급휴가를 떠나지 않아도 되는데 헤이글 장관이 위기를 조장하려고 무리하게 휴가 명령을 내렸다고 비판해 왔다.

하지만 국방부가 정상화되더라도 방산업체 등이 셧다운 여파로 대량해고를 예고하고 있어 안보 공백 우려가 말끔히 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미 최대 방산업체로 F-35 전투기 등을 생산하는 록히드마틴은 이날 성명에서 “다음 주부터 직원 3000명이 일시 해고된다”고 밝혔다. F-35 프로그램을 이끄는 크리스 보건 미 국방부 중장은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이달 들어 정부 셧다운으로 록히드마틴의 F-35 전투기 인도와 비행시험이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방산업체인 유나이티드테크놀로지(UTC)도 7일부터 블랙호크 헬리콥터를 생산하는 시코르스키 항공 직원 2000명이 일시 해고될 수 있다고 밝혔다.

미 정보기관과 재무부에서도 대북 정보 처리나 이란, 시리아, 테러 조직 제재활동에 애를 먹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관광 수입으로 먹고사는 일부 지방정부는 자비와 자체 인력을 들여 국립공원 개장을 밀어붙이는 등 자구책을 세우고 있다고 WSJ가 보도했다. 유명 국립공원인 그랜드캐니언의 남쪽에 위치한 애리조나주 투사얀시는 4일 독자적으로 공원 문을 열었다. 위스콘신주에서도 연방정부의 예산 보조로 운영되는 7개 야생림과 휴양지가 문을 열었으며, 메릴랜드주도 일부 관광지에 대해 셧다운 예외를 인정하기로 했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